이지언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29일 ‘최근 3년간 국내 기업의 재무안정성 추이’ 보고서에서 2014~2016년 국내 상장사 1853개 기업을 대상으로 이자보상비율 및 부채자산비율 분포 분석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총영업이익을 총이자비용으로 나눈 가중평균 이자보상비율은 전체 기업 기준 2014년 363%부터 2015년 464%, 2016년 533%까지 3년간 꾸준히 증가했다. 저금리 기조로 총이자비용이 연평균 2% 감소한 데 반해 총영업이익이 연평균 19%씩 증가하면서 이자보상비율이 증가했다. 2016년 말 기준 총영업이익은 32조4000억 원, 총이자비용은 6조 원을 기록했다.
총부채를 총자산으로 나눈 가중평균 총부채자산비율도 2014년 55%에서 2015년 54%, 2016년 53%로 꾸준히 줄었다. 부채가 전체 자산(부채+자본)에 차지하는 비중이 줄은 셈이다. 총부채가 연평균 6% 증가한 데 비해 총자산은 연평균 8% 증가하면서 자산 증가 속도가 더 가팔랐다. 같은 기간 부채비율도 122%에서 113%로 9%포인트가량 줄었다.
그러나 기업 규모별로 보면 자산 2조 원 이상 대기업 149곳의 재무성과는 크게 개선된 반면 자산 2000억 원 이하 중소기업 1024곳의 재무건전성은 개선되지 않았다.
대기업의 이자보상비율과 부채자산비율 분포를 보면 2016년 전반적으로 대폭 개선된 반면 중기업의 경우 소폭 개선에 그쳤다. 소기업의 경우 이자보상비율과 부채자산비율 수준은 3년간 거의 변화가 없었다.
업종별로는 전자전기제조업과 정보통신업의 재무안정성이 다소 악화됐다. 우선 전자·전기 제조업에서 이자보상비율이 100% 이하인 부실기업의 부채비중은 2014년 7%에서 지난해 28%로 높아졌다. 이는 전자·전기 제조업에서 양극화 현상이 심화됐음을 의미한다.
정보통신업의 재무안정성도 악화했다. 정보통신업에서 부채 비율 200% 이상인 부실기업의 부채비중은 2014년 10%에서 지난해 14%로 높아졌다.
향후 시중금리 상승은 기업들의 재무안정성에 주요 변수가 될 전망이다. 이지언 선임연구위원은 “국내 기업의 재무안정성 개선이 지속 가능할지는 앞으로 금리 상승 등 거시 요인에 달려있다”며 “금융당국의 모니터링과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