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우선 오는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유일하게 열리는 국회 인사청문회를 감안한 것으로 풀이된다. 새로운 인물을 지명할 경우 청문회에서 자칫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이 경우 야권의 정치공세에 말릴 가능성도 있어 이를 염두에 둔 포석으로 풀이된다.
또 문재인 대통령이 내세운 7대 인사원칙에 부합하는 인물을 찾기 어려웠을 것이라는 점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정부 인사를 앉힐 경우 한은 독립성을 해칠수 있다는 판단도 영향을 미쳤겠다.
최근 불확실성이 높아진 대내외 금융경제상황을 염두에 뒀을 것으로도 보인다. 주요국 통화정책이 긴축으로 돌아서고 있는 상황에서 정책 연속성이 무엇보다 중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나도 이 정부(박근혜정부) 사람”이라고 언급했던 이 총재를 연임시킨다는데 대한 반발도 클 것으로 보인다. 당장 여권에서 이 총재에 대한 시선이 곱지 않다. 실제 지난달 중순 이투데이가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위원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이 총재에 대한 평가는 5점(매우 잘했다) 만점에 3.36점에 그쳤다. 특히 여당 의원들은 불과 25%만이 잘했다고 평가했었다.
한은 노조에서도 반발할 기세다. 전 정부가 추진한 초이노믹스 정책에 호응해 금리인하에 나서면서 가계부채 문제를 키웠다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달 14일 한은 노조가 발표한 ‘차기 총재 지명 미루는 것은 무슨 연유인가’ 제하 성명도 이 총재의 연임을 반대한다는 뜻을 담은 바 있다.
채권시장에서는 이 총재 연임에 따라 5월 금리인상설이 급부상하고 있는 중이다. 신임총재 적응기간이 필요 없기 때문이다. 미국 연준의 3월 금리인상이 기정사실화하면서 금리역전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데다 한은 전망대로 올 하반기부터 물가가 상승할 경우 선제조치가 필요해 보인다는 관측에서다.
한편 이 총재는 1952년 생으로 강원도 원주 출신이다. 연세대 경영학과를 졸업한후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에서 경제학 석사를 취득했다.
1977년 한은에 입행해 조사국장, 정책기회국장, 통화신용정책 담당 부총재보 등 핵심요직을 거쳤다. 2012년 부총재를 끝으로 잠시 한은을 떠나 있다 2014년 총재로 임명된 바 있다.
노모와 슬하에 1남 1녀를 두고 있다.
한편 이 총재는 국회 기재위 인사청문회를 거쳐 대통령이 최종 임명할 예정이다. 새로운 임기는 4월1일부터 4년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