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세계적 수준의 인공지능(AI) 기술력을 선점하기 위해 올해부터 2022년까지 향후 5년간 2조2000억 원을 투입한다.
공공분야에서는 대형 AI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AI와 신약ㆍ미래소재 등과의 융합을 시도한다. 내년 AI 대학원 신설 등을 통해 AI 우수인재를 5000명 확보하고 기업 수요의 AI 학습용 데이터도 1억6000만 건 구축하기로 했다. 정부는 이를 통해 2022년 우리나라가 세계 4대 AI 강국으로 도약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15일 서울 광화문 회의실에서 제6차 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의 'AI R&D 전략'을 심의ㆍ의결했다.
장병규 4차산업위원장은 "현재 우리나라의 AI 기술력은 미국과 중국에 비해 취약하지만 기반이 되는 ICT(정보통신기술) 산업이 두루 발전돼 있고 분야별로 상당한 데이터가 축적돼 있기 때문에 AI를 개발ㆍ활용할 수 있는 여건이 양호하다"며 "민관이 합심한다면 글로벌 경쟁력 확보뿐 아니라 우수 인재를 육성하고,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장 위원장은 "인공지능 설계단계부터 사회적 편견 배제 등 윤리적 기준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등 인공지능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도 동반돼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번 전략에 따르면 과기정통부는 우선 국방ㆍ의료ㆍ안전 등 공공분야를 대상으로 대형 AI 프로젝트를 추진해 머신러닝, 시각ㆍ언어지능 등 범용기술 연구를 중심으로 독자적인 AI기술력을 확보하기로 했다.
고위험ㆍ차세대 기술 분야에 대한 중장기 투자도 확대한다. 경진대회를 통해 우수연구진을 선발, 후속 연구비를 지원하는 'AI R&D 챌린지'를 미국 국방부 산하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의 'DARPA 그랜드 챌린지' 형태로 확대하는 한편 대규모 병렬 처리용 AI 반도체 기술 개발에도 나선다.
AI를 신약ㆍ미래소재 등과 같은 다른 분야 R&D와 접목하는 내용도 이번 전략에 담겼다. AI 기술을 활용하면 신약 후보물질 탐색기간은 5년에서 1년, 개발 주기는 15년에서 7년으로 단축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 뇌과학 연구 등 기초과학에 대한 연구를 지원, 차세대 AI 개발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키로 했다.
정부는 AI 기술을 개발할 인재 양성에도 주력하기로 했다. 내년부터 2022년까지 인공지능 대학원 6개를 신설하고 기존 대학연구센터에 AI연구 지원을 강화해 AI 핵심ㆍ차세대 원천 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최고급 연구인력을 2022년까지 1400명 규모로 양성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AI 프로젝트형 교육과 실무인재 교육 등을 통해 AI 활용 신제품ㆍ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는 융복합 인재도 3600명을 배출하기로 했다.
AI 분야에서 협력형 연구기반 조성에도 힘쓴다. 스타트업, 중소기업 등이 AI 개발에 이용할 수 있도록 2022년까지 학습용 데이터 1억6000만 건과 한국어 말뭉치 152억7000만 어절을 올해 1월부터 운영 중인 AI 허브에서 공개한다. 슈퍼컴퓨터 5호기에 AI 전용 자원을 할당, 2022년에는 400여 개 기업이 활용할 수 있도록 인프라도 지원한다.
아울러 내년에 공공ㆍ민간 온라인 챌린지 플랫폼을 구축하고, AI 산학협력이 활성화돼 있는 거점대학을 중심으로 2022년까지 권역별 AI 브레인랩(연구거점)도 지정ㆍ운영할 계획이다. AI에 인간의 윤리규범을 넣거나 AI가 윤리규범을 벗어나지 않도록 모니터링하는 기술을 확보하는 연구도 함께 진행한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전략을 계기로 국내 인공지능 기술력이 도약하는 발판이 마련되고 4차 산업혁명시대에 국민의 삶의 질 제고 및 산업ㆍ과학기술 분야의 성장이 가속화되길 기대한다"며 "이번 전략의 실행력을 확보하기 위해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행정안전부, 국방부 등 관계 부처 및 산ㆍ학ㆍ연 전문가로 구성된 '인공지능전략협의체'를 운영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