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투자를 주로 하는 영·미계 외국계은행 지점들의 자본유출입은 자국의 금리인상 등 통화정책 보다는 한국내 선물환포지션 한도 규제에 더 영향을 받는다는 결과가 나왔다. 반면 채권투자보다는 대출영업에 치중하는 중·일계 외국계은행 지점들은 자국 통화정책 영향이 커 대조를 이뤘다.
8일 윤영진 한국은행 미시제도연구실 부연구위원이 발표한 ‘BOK 경제연구, 외은지점을 통한 은행자본유출입: 한국의 사례’ 보고서에 따르면 선물환 포지션 한도를 100%포인트 낮출 경우 이후 3개월간 채권 보유비중 상위 25%에 해당하는 외은지점의 을기금 증가율이 채권보유가 거의 없는 하위 25% 외은지점보다 7.1%포인트 높았다. 현재 선물환 포지션 한도가 자기자본의 200%인 점을 감안하면 파생상품 투자를 14.2%만큼 더 늘릴 수 있는 셈이다.
을기금이란 전통적인 자기자본(갑기금) 외에 본점으로부터 1년 이상 장기로 빌려 자본으로 의제되는 자금을 말한다. 통상 선물환포지션 한도규제가 있을 경우 외은지점 입장에서는 자금운용규모를 줄이는 수동적 대응방법이 있고, 을기금 확충 등을 통해 자기자본을 늘려 기존 운용 포지션을 유지하려는 적극적 대응방법이 있다.
반면 자국내 정책금리가 100bp(1%포인트) 인상됐을 경우 중·일계 외은지점은 다음 3개월간 본부로부터의 차입규모를 총자산의 7.55%나 줄였다. 반면 영·미계 외은지점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전체 외은지점을 비교했을때는 2.4%만큼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외은지점의 순 차입규모가 278조1000억원인 점을 감안하면 6조670억원 가량 줄어드는 셈이다.
윤 부연구위원은 “채권투자를 주로 하는 영미계 외은지점의 경우 미 연준 등 자국 통화정책보다는 국내 선물환 규제에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