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성 위염은 평소에 별 증상이 없다가도 갑자기 정신적으로 스트레스를 받거나 흥분된 상태에서 식사를 하면 소화가 더 잘 되지 않으면서 통증이 심해진다. 때문에 치료를 해서 증상이 개선되었다고 해도 완전히 나았다고 안심할 수 없다. 같은 상황이 닥치면 또 다시 재발되는 경우가 흔하기 때문이다.
강진희 부산위담한의원 원장은 “치료를 해도 쉽게 낫지 않는 신경성 위염은 단순히 위염으로만 치료하기 보다는 질병의 원인을 다양하게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며 “낫지 않는 신경성 위염의 원인은 담적증후군으로 의심해볼 수 있다”고 설명한다.
이어 "담적증후군이란 음식 노폐물이 부패해서 형성된 담 독소가 위장 외벽 조직에 껴서 위장이 굳어지는 병을 말한다. 위장 점막에는 열렸다 닫혔다 하는 문이 있는데 폭식, 과식, 급식, 독성 음식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담 독소가 위장 점막의 문을 깨트리면서 위장 외벽이 손상된다"고 덧붙였다.
담적증후군이 발병되면 가장 먼저 소화기능이 떨어지면서 치료가 어려운 만성 위장질환을 유발한다. 위장 내부의 염증이나 궤양이 아니기 때문에 내시경으로도 관찰이 힘들다.
하지만 이를 방치했을 경우는 전신에 병을 부른다는 점 때문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위장병은 물론 두통, 어지럼증, 구취, 동맥경화, 고혈압, 관절염, 여성질환, 우울증, 만성피로, 당뇨, 피부질환, 방치하면 위암, 대장암까지 유발할 수 있다.
한의학에서는 담적증후군 치료의 핵심으로 담 독소를 약물로 제거하는 약물요법과 굳어진 외벽 조직을 풀어주는 물리요법을 꼽는다. 그 방법으로는 발효 한약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대표적이며 이외에도 간을 정화시키거나 탕이나 생식요법, 약침요법, 공진요법 등 한의한적인 접근으로 진행한다.
강 원장은 “담적증후군은 신경성 위염 외에도 각종 만성질환을 일으키고 방치하면 더 큰 병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하루 빨리 치료하는 것이 좋다”며 “완전히 치료가 되기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수 있으므로 마음의 여유를 가지고 차분히 임하는 것이 치료의 효과를 높이는 길”이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