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8월 폭염이 절정일 때 산림을 제외한 도시의 모든 곳에서 열스트레스가 지표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날씨가 더울 때 주거지역·상업지역·주차장 등 그레이인프라에서 열스트레스 지표가 높고, 공원·수변 등의 그린인프라는 낮다. 그러나 올해 8월 폭염경보 발령 기간에는 산림을 제외한 모든 인프라에서 극한 열스트레스에 시달린 것이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제주대와 공동으로 수원 호매실 택지개발지구 9곳에서 폭염주의보가 발생했던 올해 7월 19~20일과 폭염경보가 발생했던 8월 2~3일, 낮(12시~16시)과 밤(21시~01시)의 기상 현상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13일 밝혔다.
연구진은 측정 지역 내의 산림, 논, 수변, 공원잔디밭, 주거지역, 상업지역, 주차장, 나지 등 다양한 토지 이용 유형에 따라 열스트레스 지표를 분석했다.
열스트레스 지표는 햇빛의 영향을 받는 야외공간에서 인체에 흡수되는 에너지양과 주변으로 방출되는 에너지양을 정량적으로 계산해 인간이 느끼는 열스트레스를 단계별로 나타낸 것이다.
지표는 단계에 따라 △약한 열스트레스(23~29도) △중간 열스트레스(29~35도) △강한 열스트레스(35~41도) △극한 열스트레스(41도 이상) 등으로 구분한다.
여름철 공원잔디밭과 같은 그린인프라가 주거지역 등의 그레이인프라에 비해 열스트레스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8월 폭염경보 주간에는 산림을 제외한 그린 및 그레이 등 모든 인프라에서 극한 열스트레스를 보였다.
공원잔디밭과 같은 형태의 그린인프라에서는 7월 폭염주의보와 8월 폭염경보 주간에 극한 열스트레스가 나타났다.
논, 수변 등의 그린인프라는 7월 폭염주의보 주간 시, 그레이인프라에 비해 열스트레스 지표가 1~2단계 낮았다. 그러나 이곳들도 8월 폭염경보 주간 때는 극한 열스트레스를 보였다.
이에 반해 산림과 같은 그린인프라는 7월 폭염주의보와 8월 폭염경보 시 모든 측정지점보다 주간의 열스트레스 지표가 2단계 낮았다. 또한 낮밤의 단계 차이가 가장 적었다.
낮의 열스트레스는 그레이인프라의 경우 상업지구, 나지, 고층아파트, 단독주택단지, 야외주차장 순으로 높았다. 그린인프라는 공원잔디밭, 수변, 논, 산림 순이었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이번 연구 결과에 따르면, 수목으로 이뤄진 산림은 낮의 태양복사에너지를 83~92.7%를 차감해 열스트레스 지표를 1.5~2.5단계 개선했다"며 "공원을 잔디밭으로 구성하는 것보다 수목을 늘리면 도시의 열스트레스를 낮출 수 있는 셈"이라고 분석했다.
이영기 환경자원연구부장은 "향후 강한 폭염에 대비하려면 그린인프라 유형별 특성을 공간화해 적합한 환경계획을 세워야 한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