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황_정오] 코스닥 681.7p, 상승세 (▲1.96p, +0.29%) 지속

입력 2019-01-10 12:0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오전에 상승 기조를 보였던 코스닥시장이 개인의 ‘사자’ 매수세에 장 중반에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10일 정오 현재 코스닥지수는 1.96포인트(+0.29%) 상승한 681.7포인트를 나타내며, 680선을 두고 등락을 거듭하고 있다.

이 시간 현재 투자자 별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만 홀로 매수 중이며, 외국인과 기관은 동반 매도세를 보이고 있다.

개인은 710억 원을 매수 중이며 외국인은 105억 원을, 기관은 525억 원을 각각 매도하고 있다.

업종별 현황은 숙박·음식(+1.02%) 업종의 상승이 두드러진 가운데, 부동산(+0.69%) 유통(+0.59%) 등의 업종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에 농림업(-1.48%) 건설(-0.69%) 등은 상대적으로 내림세다.

그 밖에도 IT H/W(+0.38%) 금융(+0.36%) 사업서비스(+0.27%) 등의 업종이 동반 상승 중이며, 기타서비스(-0.58%) 교육서비스(-0.50%) 오락·문화(-0.44%) 등의 업종이 동반 하락 중이다.

시가총액 상위 20개 종목 중 9개 종목이 상승중이다.

CJ ENM이 4.50% 오른 20만9000원을 기록 중이고, 바이로메드(+3.82%), 포스코켐텍(+3.53%)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컴투스(-5.42%), 코미팜(-1.79%), 펄어비스(-1.60%)는 하락 중이다.

그밖에 엔피케이(+25.00%), 한국테크놀로지(+19.29%), NHN벅스(+19.29%) 등의 종목의 상승이 두드러진 가운데, 퓨전데이타(-14.35%), 비츠로시스(-9.80%), 흥국(-6.91%) 등은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토박스코리아(+30.00%), 넥스트리밍(+29.81%) 등이 상한가를 기록 중이다.

현재 559개 종목이 상승 중이며 615개 종목이 하락, 106개 종목은 보합세를 보이고 있다.

외환시장에선 원달러 환율이 1120원(-0.17%)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일본 엔화는 1037원(+0.71%), 중국 위안화는 164원(+0.19%)을 기록 중이다.

[이 기사는 이투데이에서 개발한 알고리즘 기반 로봇 기자인 e2BOT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기사관련 문의 - e2bot@etoday.co.kr]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2025 벚꽃 만개시기는?
  • 故장제원 전 의원, 빈소는 부산 해운대백병원…오늘부터 조문
  • ‘폐암 신약 찾아라’…국내 바이오텍 초기 임상 활발
  • 챗GPT 인기요청 '지브리 스타일', 이제는 불가?
  • [날씨] 전국에 내리는 봄비…수도권ㆍ충남은 초미세먼지 주의보
  • 윤석열 탄핵 선고 앞둔 헌재·안국역 주변 도로통제 현황
  • ‘14명 아빠’ 일론 머스크, 또 한국 때린 이유 [해시태그]
  • "벚꽃 축제 가볼까 했더니"…여의도 벚꽃길, 무사히 걸을 수 있나요?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4.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4,819,000
    • +0.72%
    • 이더리움
    • 2,753,000
    • -0.36%
    • 비트코인 캐시
    • 450,600
    • -1.94%
    • 리플
    • 3,077
    • -1.6%
    • 솔라나
    • 184,100
    • -1.87%
    • 에이다
    • 989
    • -1.1%
    • 이오스
    • 1,146
    • +14.71%
    • 트론
    • 354
    • +1.43%
    • 스텔라루멘
    • 393
    • -1.0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6,280
    • -4.02%
    • 체인링크
    • 19,910
    • -2.55%
    • 샌드박스
    • 395
    • -3.4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