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국내 데이터 시장을 30조원 규모로 키우고, 인공지능(AI) 분야 유니콘 기업을 10개까지 육성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또 관련 산업을 활성화 시키기 위해 인공지능 융합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데이터와 AI 전문인력을 1만명 양성키로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6일 경제부총리 주재 제1차 혁신성장전략회의에서 관계부처와 합동으로 수립한 '데이터·AI경제 활성화 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작년 8월 데이터 경제로의 전환을 선언하고, 11월 관련 규제 개선으로 개인정보의 활용과 보호에 균형을 맞춘 개인정보 관련 법 개정안을 국회에 발의한 데 따른 후속조치다. 정부는 올해부터 2023년까지 5개년간 데이터와 인공지능(AI)의 육성 전략 및 융합을 촉진하는 정책을 담은 실행 계획을 내놓았다. 국내 데이터시장을 30조원 규모로 키우고, 인공지능 분야 유니콘기업 10개 육성, 인공지능 융합 클러스터 조성 및 데이터·인공지능(AI) 분야 전문 인력을 1만명 양성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데이터의 수집·유통·활용을 활성화하고, 세계적 수준의 인공지능 혁신생태계 조성 및 데이터와 인공지능 간 융합을 촉진하는 9개 정책과제를 수립한 것이 핵심이다.
우선 정부는 빅데이터 센터 100개와 빅데이터 플랫폼 10개를 구축할 예정이다. 공공·민간 분야별로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해 활용하기 위해서다. 중소벤처기업의 데이터 구매, 가공비용을 지원하는 바우처 사업도 추진한다.
데이터, 알고리즘, 컴퓨팅 파워 등 AI 개발 인프라를 원스톱으로 제공하는 AI 허브도 만든다. 세계적인 수준의 인공지능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이 목표다. 또 AI 관련 기초연구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인공지능분야 R&D를 고난이도 기술개발에 적합한 챌린지 방식으로 추진키로 했다.
기업과 대학, 연구소가 한 곳에 모여 데이터와 인공지능 관련 연구개발, 인력양성, 창업 등을 종합 지원할 수 있는 인공지능 융합 클러스터를 조성에도 나선다. 여기에는 2029년까지 1조원 규모의 예산을 투자할 예정이다.
국가 정보화 사업에 데이터와 인공지능을 적극 활용해 2022년까지 35% 수준으로 늘리고, 의료, 안전, 제조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지능화 확산을 위한 시범서비스도 추진할 예정이다. 데이터와 인공지능의 활용을 촉진하는 제도 마련과 함께 안전한 활용을 보장하기 위한 개인정보 관련 법령개정, 인공지능 윤리 가이드라인 마련에도 나선다.
데이터·AI경제 활성화 민관 합동 TF단장인 민원기 과기정통부 제2차관은 "규제샌드박스가 시행되면 데이터와 인공지능(AI) 기반의 신기술·신제품 출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