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영업이익률이 크게 악화한 시멘트업계가 올해 지역자원시설세를 비롯한 각종 환경부담금 규제로 더 큰 악재와 부딪히고 있다.
11일 국내 시멘트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시멘트업계는 건설경기 침체에 따른 출하량 감소로 매출이 하락한 상황에서 유연탄·유류 등 연료비 인상 등 원가 부담까지 가중돼 전반적으로 실적이 저조했다. 주요 시멘트사들이 공시한 ‘2018년도 경영실적(연결 재무제표 기준)’을 보면 쌍용양회공업, 삼표시멘트, 성신양회, 한일현대시멘트 등의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감소했고, 아세아시멘트만 유일하게 영업이익이 49%가량 증가하면서 ‘나홀로’ 상승세를 탔다.
그중에서 경영상황이 가장 악화했던 곳은 삼표시멘트로, 영업이익 하락폭이 98.7%나 됐다. 삼표시멘트는 지난해 실적 악화의 경우 시장 수요 축소에 따른 판매물량 감소 및 경쟁 심화, 선박 부족으로 인한 물동량 차질, 선박 등 설비 투자에 따른 감가상각비 증가 등으로 불가피했다는 설명이다. 이어 상대적으로 선전한 아세아시멘트와 쌍용양회공업도 지난해 당기순이익이 전년 대비 각각 67.8%, 51.2% 감소하는 등 대부분 부진을 면치 못했다. 그중에서도 삼표시멘트와 한일현대시멘트는 적자전환했고, 유일하게 성신양회만이 순이익을 32.6% 늘리며 체면을 세웠다.
매출 실적에서는 아세아시멘트와 성신양회가 작년에 전년 대비 각각 82.9%, 6.3% 증가한 반면 삼표시멘트, 한일현대시멘트, 쌍용양회공업은 크게 줄었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건설경기 침체로 출하량이 대폭 줄었고, 원재료 가격까지 상승하면서 대부분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주저앉았다”고 설명했다.
시멘트업계는 작년보다 올해 경영이 더 악화할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와 국회 등이 △지역자원시설세 △질소산화물 배출부과금 등의 각종 규제와 세금 등에 집중하고 있어서다. 업계는 지역자원시설세와 질소산화물 배출부과금 등을 모두 부과할 경우 연간 약 1700억 원 이상을 부담해야 한다고 우려한다.
우선 지자체와 국회 등은 시멘트 생산량 1t당 1000원의 지역자원시설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정부 부처에서 심의한 뒤 4월께 부과 여부가 결정된다. 과세가 확정되면 시멘트업계는 1년에 약 530억 원의 세금을 더 내야 한다. 반면 업계는 지역자원시설세가 ‘이중과세’라며 반발하고 있다. 이미 시멘트 원료인 석회석에 지역자원시설세를 내고 있어서다. 시멘트 업체는 석회석 채광 단계에서 30억 원에 가까운 지역자원시설세를 납부하고 있다. 지역자원시설세는 ‘지역 산업에 세금을 부과해 지역주민에 돌려주자’는 취지다.
시멘트 업계는 여기에 환경부가 2020년부터 징수할 계획인 약 650억 원 상당의 질소산화물 배출부과금도 부담이다. 이 밖에 △화물자동차 안전운임제 300억여 원 추가 부담 △온실가스배출권 구매 연간 230억 원 등을 추가로 내야 한다. 이처럼 환경부담금 모두를 합치면 1700억 원 상당으로 이는 시멘트 업계가 지난 10년간 거둔 평균 순이익 400억 원의 4배나 된다.
한국시멘트협회 관계자는 “가뜩이나 경영위기로 힘든 시멘트업계에 무리한 과세부담을 떠안기는 것은 도저히 납득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정부와 정치권의 납득할 수 없는 지역자원시설세 추진에 반대하며 시멘트업계는 절대 수용할 수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