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문재인 대통령은 미국 워싱턴 DC에 도착,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의 한미정상회담을 포함한 1박 3일간의 방미 일정에 돌입했다.
문 대통령은 우선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마이크 펜스 부통령을 차례로 접견한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과 백악관 내 대통령 집무실인 오벌오피스 등에서 2시간가량 만나며 비핵화 해법을 두고 머리를 맞댄다.
건설업계는 지난 2월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2차 북미 정상회담이 결렬된 후 비핵화 협상은 물론이고 남북경협 논의도 사실상 멈춘 상태에서 새로운 돌파구를 찾을 수 있을지에 대한 관심이 높다.
이와 관련해 대북협상을 총괄하고 있는 폼페이오 장관이 현지시간으로 지난 10일 상원 외교위원회의 2020 회계연도 예산 관련 청문회에 출석, 북한의 비핵화 때까지 제재를 이어가겠다는 기조를 유지하면서도 "그 부분에 있어서 약간의 여지(a little space)를 남겨두고 싶다"고 밝히며 이에 대한 해석이 분분하다.
이 발언은 북한의 비핵화 실행조치 이행 상황에 따라 '일괄타결식 빅딜론'에서 다소 물러나 일정 정도의 유연성을 발휘할 수 있다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때문에 한미정상이 이번 회담에서 비핵화 진전에 따른 부분적 제재완화를 놓고 어느정도 의견을 좁힐지가 최대 관심사로 부상하고 있다.
이번 회담 결과에 따라 금강산 관광과 개성공단 재개를 포함해 철도.도로 등의 SOC 사업도 진행될 수 있는 만큼 실제 사업을 진행하게 될 건설사들로서는 관심이 높을 수밖에 없다.
앞서 건설사들은 지난해 남북관계 화해무드가 조성되면서 경협사업이 추진되자 남북경협 지원단이나 대북사업 TF를 꾸리는 등 사업 추진에 대비해 왔다.
하지만 하노이 회담 이후 북미 간 갈등이 불거지고 비핵화 협상이 지지부진하자 건설업계의 준비도 '올스톱' 됐다. 현재는 남북경협과 관련한 진행상황을 모니터링하는 정도에 머물고 있다. 대한건설협회 등 업계를 대표하는 단체들이 추진하던 관련 토론회나 포럼도 중단된 상태다.
한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남북 경협사업은 정치.외교 문제 등 풀어야 할 부분이 많아서 일단은 지켜보고 있을 수 밖에 없다”면서 “하지만 건설사들로서는 사업이 진행된다고 하면 많은 기회를 얻을 수 있는 만큼 기대가 큰 것도 사실이다”고 말했다.
건설사들이 경협 사업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는 최근 대내외 상황이 여의치 않기 때문이다. 해외수주 물량이 전성기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고 사회간접자본(SOC) 등 건설사들의 안정적인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사업들도 감소세다. 또한 최근 몇 년 동안 건설사들의 캐쉬카우 역할을 하던 주택 사업도 정부의 규제로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때문에 건설업계는 이번 한미 정상회담에서 일부 제재가 해제돼 남북경협 사업이 속도를 내기를 기대하고 있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건설업이 사양산업으로까지 분류되는 상황에서 대북 사업은 건설업계의 향후 10~20년을 바라볼 수 있는 중요한 시장이다”면서 “일부 만이라도 제재가 해제될 것을 건설업계는 기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