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 조사 결과가 내달 초에나 나올 것으로 예상되면서 관련 업계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원인 모를 화재’로 인해 이미 상당한 타격을 입은 관련 업체들은 올해 ESS 사업은 사실상 물 건너간 것이나 마찬가지라는 입장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일 “민관합동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위원회가 ESS 구성품과 시스템에 대한 실증 시험을 진행 중이다”며 “오는 6월 초 조사결과를 발표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ESS는 생산된 전력을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장치로 신재생에너지의 ‘간헐성’ 문제를 보완해 줄 장치로 주목을 받으면서 급격한 성장세를 보였다.
그러나 2017년 8월 처음 화재가 발생한 이후 지난해 5월에서 지난 1월까지 원인 모를 화재가 집중적으로 발생, 현재 관련 산업은 완전히 제동이 걸린 상태다.
지난달 30일 기준으로 전국 ESS 시설 1490곳 중 가동을 중단한 곳은 522개에 달한다. 앞서 3월에는 제조사의 자체 가동중지 조치로 인해 765개의 사업장이 가동을 멈췄다.
국내 ESS 신규 설치 발주 역시 올해 초부터 지난달 말까지 사실상 한 건도 없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에 따라 삼성SDI, LG화학. LS산전 등 관련 사업에 힘을 쏟았던 주요 기업들의 1분기 실적도 꼬꾸라졌다.
삼성SDI와 LS산전은 영업이익이 각각 전 분기, 전년 동기 대비 거의 반토막이 났다. LG화학 역시 전지사업에서 적자를 냈다.
차라리 자금 여력이 있는 대기업은 상황이 좀 나은 편이다. 이마저도 마땅치 않은 중견·중소 업체들의 경우 생존의 갈림길에 서 있다.
특히 ESS 관련 기업들은 정부가 내달 초 화재 원인, 안전 대책, 생태계 육성방안을 발표할 경우 올해 사업 정상화를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ESS 관련 업체 관계자는 “지금 당장 화재 원인 조사 결과가 나온다 하더라도 이미 많이 늦었다”며 “6월 초에나 결과가 나오면 가이드와 방안 제시하고, 공청회도 진행될 텐데 그러면 올해 ESS 사업은 사실상 물 건너갔다고 봐야한다”고 토로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 역시 “업계의 피해가 커지고 있는 만큼 하루라도 빨리 원인 및 대책이 나오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한편 전지 업계에서는 ESS 제품 자체의 결함보다는 설치 환경, 운영 조건 등에 의해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LG화학 관계자는 최근 열린 2019년 1분기 실적 콘퍼런스콜에서 “아직 ESS 화재는 아직 제품 배터리에 (원인이) 있는지, 설치 환경과 운영조건에 기인하는지 정확한 사실 확인을 진행 중"이라면서도 "지금 제품 결함 측면에선 여러 가지 가능성을 두고 점검하나 이러한 측면에선 사례가 없고 화재가 재현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