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애경그룹과 다우키움그룹이 올해 공시대상기업집단(준대기업집단)으로 새롭게 편입돼 총수일가 사익편취 규제를 적용 받게 됐다. 또 카카오그룹과 HDC가 자산규모 10조 원을 넘어서면서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대기업집단)으로 새로 지정됐다.
공정거래위원회가 15일 내놓은 ‘2019년 공시대상기업집단 및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지정’ 자료에 따르면 올해 애경과 다우키움 등 2개 기업집단이 자산총액 5조 원 이상인 공시대상기업집단으로 신규 지정됐다.
애경과 다우키움은 각각 자산총액 5조2000억 원, 5조 원을 기록했다. 애경의 경우 계열사 상장, 마포 신사옥 준공 등으로, 다우키움은 사모투자전문회사(PEF) 및 투자목적회사(SPC)의 증가로 자산이 늘었다.
지난해 공시대상기업집단으로 지정된 메리츠금융(금융전업집단으로 분류), 한진중공업(한진중공업 및 인천북항운영에 대한 지배력 상실에 따른 자산 감소), 한솔(계열사 매각에 따른 자산 감소) 등 3개 집단이 자산총액 5조 원 미만으로 떨어지면서 올해 공시대상기업집단에서 제외됐다.
관련 뉴스
이에 따라 올해 공시대상기업집단 수는 전년보다 1곳이 감소한 59개로 나타났다. 이들 집단의 소속회사 수는 전년보다 20곳이 늘어난 2083개를 기록했다.
59개 공시대상기업집단의 자산총액(2039조7000억 원)은 전년대비 73조 원 증가했다. 자산총액 기준으로 순위가 많이 상승한 집단은 HDC(46위→33위), 카카오(39위→32위), 하림(32위→26위) 등이었다.
총 매출액(1422조 원)은 전년보다 62조5000억 원 증가했으며, 총 당기순이익(92조5000억 원)은 7조7000억 원 줄었다. 부채비율의 경우 작년 71.2%에서 67.8%로 감소했다.
올해 공시대상기업집단으로 새로 지정된 애경과 다우키움을 포함한 59개 집단은 앞으로 공정거래법에 따라 기업집단현황공시, 대규모내부거래공시, 주식소유현황 신고 등의 의무가 부과되고 총수일가 사익편취 규제를 적용받게 된다.
총수일가 사익편취 규제의 경우 자산총액 5조 원 이상인 공시대상기업집단 소속회사에 대해 총수 또는 총수일가가 지분 20% 이상(상장사 30% 이상)을 보유한 회사에 일감몰아주기, 사업기회제공 등 부당이익을 제공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이를 위반할 경우 형사처벌 등 제재가 가해진다.
올해 자산총액 10조 원 이상인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에는 카카오와 HDC가 새롭게 지정됐다. 카카오와 HDC의 자산총액은 각각 10조6000억 원을 기록했다. 카카오의 경우 현물출자 및 주식 취득으로, HDC는 서울-춘천고속도로 편입으로 자산이 늘었다.
이로써 올해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수는 전년보다 2개 증가한 34개로 나타났다. 계열회사 수는 지난해 1332개에서 1421개로 늘었다.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의 자산총액(1846조4000억 원)과 총 매출액(1306조 원)은 전년보다 각각 89조 원, 78조1000억 원 증가했다. 총 당기순이익(85조7000억 원)은 5조8000억 원 줄었다. 부채비율(67.3%)은 전년 대비 2.2%포인트(P) 감소했다.
올해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으로 지정된 34개 집단은 공시대상기업집단에 적용하는 규제 외에도 계열사 간 상호출자금지, 순환출자금지, 채무보증금지는 물론 금융·보험사 의결권을 제한받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