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금융이 뜬다] 글로벌 환경규제에 ‘녹색금융’으로 투자금 몰린다

입력 2019-06-17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지난해 그린금융 펀드 규모 30조7000억 달러 달해

‘녹색’이라는 꼬리표만 붙으면 자본이 쏟아져 들어오는 시대가 왔다. 세계 각국에서 환경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는 조치가 잇따라 나오면서 ‘그린금융(Green Finance)’이 뜨고 있다.

최근 블룸버그통신은 ‘기후 변화가 인간에 의한 것이냐’ 하는 문제는 여전히 정치인들 사이에서 논쟁거리이지만, 투자자들은 점점 그린금융에 확신을 더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그린금융에 대한 투자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글로벌 지속가능 투자연합(GSIA)’이 집계한 지난해 그린금융 펀드 규모는 최소 30조7000억 달러(약 3경6321조 원)에 달했다. 지난 2016년과 비교해 34% 급증했다.

이는 GSIA가 추적하는 전체 사회책임투자 규모 92조 달러의 약 3분의 1에 해당하는 것으로, 특히 유럽지역에서는 ‘그린금융’이 거의 절반에 달한다.

이 같은 그린금융 붐은 이제 거스를 수 없는 대세가 돼가고 있다. 말 한 마디로 세계 금융 시장에 엄청난 파급을 주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환경 및 기후 변화 관련 규제를 완화하는 상황에서도 투자 열기는 식지 않았다. 예를 들어 석유 회사인 로열더치쉘과 거대 광산업체 글렌코어와 같은 기업들은 최근 이 같은 변화에 사상 처음으로 환경 관련 목표를 설정하고 이사회 회의에서 온실가스 배출을 제한하는 내용에 대해 논의했다.

BNP파리바의 지속가능경영 책임자인 안줄리 팬디트는 “민간 부분이 이를 얼마나 심각하게 받아들이는지를 보며 사람들이 놀라고 있다”며 “처음으로 모든 시장 참여자들이 이미 오래 전에 했어야 할 질문들을 서로에게 던지고 있다”고 말했다.

신재생에너지 개발자들은 새로운 프로젝트를 지원하기 위해 연금 펀드의 투자까지 이끌어냈다. 이들이 운용하는 펀드는 전기를 파는 계약을 체결하기 때문에 계약자들에게 안정적 수익을 제공한다.

또 이런 계약들은 녹색 채권(그린 본드) 시장의 크기를 키우는 데 큰 도움이 됐다. 블룸버그NEF의 데이터를 보면 매년 녹색 채권 시장은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국제기후채권기구(CBI)에 따르면 20 17년 녹색채권 발행 규모는 1600억달러 규모까지 급성장했다.

증권 시장 역시 예외는 아니다. 블룸버그인텔리전스에 따르면 지난해 녹색 또는 지속가능개발 관련 펀드 관련 거래 규모는 416억달러 수준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녹색 금융의 이러한 성장은 최근 세계 각국에서 환경을 보호하려는 움직임이 거세지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가장 최근에는 캐나다가 강력한 환경 규제 방안 도입을 결정했다. 캐나다는 이르면 2021년부터 비닐봉지와 빨대 등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을 전면 금지한다. 영국 역시 지난해 8월 플라스틱 빨대와 면봉의 사용을 금지했고, 최근에는 2050년까지 온실가스를 ‘제로’로 만들겠다는 목표까지 채택했다.

앞서 유엔이 지난 5월, 매년 800만t 이상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바다에 버려져 생태계와 어업에 심각한 영향을 준다며 국제사회가 유해 폐기물을 통제하자는 취지로 체결한 바젤협약의 규제 대상에 플라스틱 쓰레기를 포함키며 각국의 규제 도입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이 유엔 협약에는 180개국이 동참했다.

그러나 녹색금융 시장이 급하게 성장하다보니 일각에서는 일부 자산 운용 매니저들이 그린금융을 남용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일부 펀드가 실제로는 환경에 좋지 않은 투자임에도 ‘그린’이라는 이름표를 붙이고 있다는 지적이다.

그린금융이 10여년 전만 하더라도 사실상 존재하지도 않던 새로운 시장이다 보니, 아직까지 명확한 정의가 내려지지 않은 탓이다. 현재 GSIA는 해당 투자가 지속가능성과 연관된 어떠한 전략이라도 이용한다면 그린금융에 포함시킨다는 매우 광범위한 수준의 정의를 내리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당원 게시판 논란'에 연일 파열음…與 균열 심화
  • 코스닥·나스닥, 20년간 시총 증가율 비슷했지만…지수 상승률은 ‘딴판’
  • 李 열흘만에 또 사법 리스크…두 번째 고비 넘길까
  • 성장률 적신호 속 '추경 해프닝'…건전재정 기조 흔들?
  • 민경훈, 뭉클한 결혼식 현장 공개…강호동도 울린 결혼 서약
  • [이슈Law] 연달아 터지는 ‘아트테크’ 사기 의혹…이중 구조에 주목
  • 유럽 최대 배터리사 파산 신청에…골드만삭스 9억 달러 날렸다
  • 일본, 사도광산 추도식서 “한반도 노동자, 위험하고 가혹한 환경서 노동”
  • 오늘의 상승종목

  • 11.2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3,724,000
    • -1.34%
    • 이더리움
    • 4,618,000
    • -2.06%
    • 비트코인 캐시
    • 702,500
    • +1.08%
    • 리플
    • 1,952
    • -2.16%
    • 솔라나
    • 346,200
    • -1.84%
    • 에이다
    • 1,383
    • -4.16%
    • 이오스
    • 1,139
    • +8.58%
    • 트론
    • 286
    • -2.05%
    • 스텔라루멘
    • 803
    • +21.85%
    • 비트코인에스브이
    • 93,850
    • -1.42%
    • 체인링크
    • 23,790
    • -0.63%
    • 샌드박스
    • 847
    • +44.5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