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상장종목 시가총액이 최근 한 달 간 42조 원 가량 증발했다. 코스닥은 13조 원 줄었다. 일본 정부의 반도체 소재 수출 규제가 투자자들의 심리를 위축시키면서, 증시가 크게 조정 받은 영향이다.
28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코스피 시총은 지난달 말 기준 1420조 원에서 지난 26일 현재 42조원 감소한 1378조 원으로 줄었다.
외국인 투자자가 해당기간 코스피 시장 내에서 순매수를 주도했지만 기관과 개인의 매도 공세가 강했다. 결국 코스피 지수는 2130.62에서 3.02% 내린 2066.26으로 집계됐다.
코스닥 시가총액은 같은 기간 236조 원에서 223조 원으로 13조 원 가량 줄었다. 해당 기간 지수는 690.53에서 644.59로 6.65%하락했다. 상대적으로 대폭 조정을 받은 코스닥지수는 기관과 외국인의 순매도 영향을 받았다. 이 기간 기관과 외국인은 각각 4821억 원, 2933억 원 어치를 팔아치웠다.
증시 하락세를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뚜렷한 매수 주체가 부재한 상황에서 일본의 추가 경제 보복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주요 외신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이르면 8월 2일 각의에서 한국을 화이트 리스트에서 제외하는 내용의 수출무역관리령 개정안을 처리할 예정이다.
일각에선 반도체 소재 뿐만 아니라 방산, 원자력, 공작기계, 이차 전지, 수소차 관련 부품에 대한 수출 심사가 강화 가능성도 점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