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일자리 '먹구름'…조선 제외한 전 업종 유지·감소

입력 2019-07-30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국고용정보원-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19 하반기 주요 업종 일자리 전망' 발표

(한국고용정보원)
(한국고용정보원)

올해 하반기에 조선업을 제외한 대부분의 업종에서 일자리가 줄어들거나 지난해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됐다. 투자수요 위축과 가계 대출 규제 강화로 은행업에서는 3만5000개의 일자리가 사라질 것으로 보인다.

한국고용정보원과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은 기계·조선·전자·섬유·철강·반도체·자동차·디스플레이 등 8개 주력 제조업에 건설·금융보험을 더한 10개 업종의 ‘2019년 하반기 일자리 전망’을 30일 발표했다. 고용보험 데이터베이스, 직종별 사업체 노동력 조사, 경제활동인구조사와 전문가들 의견을 종합해 분석한 것이다.

올해 하반기에는 조선업 일자리가 늘어나고 섬유와 자동차, 금융보험업종 고용은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다.

조선업의 경우 세계 경제성장률 하향조정, 미·중 무역 분쟁 장기화 등 전세계 경기 하강 위험에 상반기 선박 발주는 저조했으나, 하반기 우리나라 주력선종인 액화천연가스, 초대형 컨테이너 운반선 등의 시황 회복과 2017~2018년 수주 선박의 건조가 예상돼 지난해 하반기 대비 3.5%(4000명) 늘어난 일자리를 만들 것으로 예상했다.

자동차업종은 미·중 무역 분쟁 장기화, 브렉시트 등 보호무역주의로 인해 전세계 자동차 판매량이 감소되면서 고용도 전년 동기 대비 1.6%(6000명)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섬유업에서는 선진국의 보호무역주의 확산, 전세계 경기 침체에 따른 가격 경제 심화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 하반기 고용인원보다 4.0%(7000명)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은행업은 가계 대출 규제 강화로 은행 대출 자산 증가세가 둔화할 것으로 예측되고, 투자수요 위축, 내부자금 및 직접금융시장 활용 증가로 인해 대기업 대출 증가세 역시 둔화되며, 보험 판매 축소, 금리 하락으로 보험 업종의 성장세 역시 정체될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 및 보험 업종의 고용은 지난해 하반기보다 4.1%(3만5000명)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기계, 전자, 철강, 반도체, 디스플레이, 건설은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의 고용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독감 환자 폭증…치료제 수급 불안 우려에 안정 공급 주력
  • 논란의 K프랜차이즈, 국내선 비용 절감ㆍ해외선 가맹점 확대[유통가 고군분투]
  • 언제나 반가웠다…역대 ‘임시공휴일’ 모음집 [해시태그]
  • 알맹이만 중요하다고요? 요즘은 '껍데기'에 돈 씁니다! [솔드아웃]
  • 뉴욕증시, 카터 전 대통령 장례식에 ‘휴장’...국가 애도의 날
  • 관리의 삼성물산 vs 수주전 강자 현대건설…한남4구역 사업조건 따져보니
  • 추워도 너무 춥다…포천 -21도·가평 -20도·이천 -18도
  • 양자컴 무너지고 SK하이닉스 띄운 요주의 인물 젠슨 황
  • 오늘의 상승종목

  • 01.10 11:35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1,832,000
    • +0.47%
    • 이더리움
    • 4,935,000
    • -1.02%
    • 비트코인 캐시
    • 642,500
    • -0.93%
    • 리플
    • 3,468
    • -1.31%
    • 솔라나
    • 287,000
    • -1.98%
    • 에이다
    • 1,402
    • -0.28%
    • 이오스
    • 1,203
    • +0.75%
    • 트론
    • 365
    • -1.88%
    • 스텔라루멘
    • 605
    • -3.04%
    • 비트코인에스브이
    • 78,800
    • -1.01%
    • 체인링크
    • 30,380
    • -0.23%
    • 샌드박스
    • 883
    • -0.1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