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루한 건 가차 없이 외면당한다. 간단함, 병맛, 솔직함으로 기업의 흥망성쇠를 좌우하는 90년생, 왜 우리는 이들에 주목하는가.
90년대생들은 태어날 때부터 인터넷·디지털 기기를 접한 일명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다. 각종 디지털 콘텐츠를 소비하며 즉각적인 흥미를 충족시키는 데 익숙하다.
'90년생이 온다'의 저자 임홍택 씨는 2012년 CJ인재원에서 90년대생의 신입사원 교육을 맡다가 이전 세대와 확연히 다른 이들의 언어, 가치관, 소비성향에 관심을 두게 돼 이 책을 쓰게 됐다고 한다.
문재인 대통령은 청와대 직원들에게 "새로운 세대를 알아야 미래를 준비할 수 있다. 그들의 고민도 해결할 수 있다. 누구나 경험한 젊은 시절, 그러나 지금 우리는 20대를 얼마나 알고 있을까요"라는 메시지와 함께 '90년생이 온다'라는 책을 선물하기도 했다.
이제는 우리 사회에 흠뻑 녹아든 90년대생 신입사원이 바라본 직장생활을 인포그래픽으로 정리했다.
관련 뉴스
![](https://img.etoday.co.kr/pto_db/2019/08/20190823164817_1358789_700_4550.jpg)
[인포그래픽] '90년생이 온다'…이미 온 신입들이 바라본 직장생활
◇'90년생이 온다' 대통령도 언급
*8월, 청와대 직원들에게 문재인 대통령이 선물한 책 '90년생이 온다'
→ 책 건넨 문 대통령 "새로운 세대를 알아야 한다"라고 당부
△'90년생이 온다'는?
13년차 직장인, 1980년대생 임홍택 작가 작품
1990년대생 신입사원들과의 경험을 바탕으로 작성
새로운 세대를 이해하지 못하는 선배 세대와의 갈등 지점을 보여줌
△'90년생이 온다' 속 90년생
'꼰대 조직'을 견디지 못하고, '워라밸' 중시
간단하고, 재미있고, 정직함을 선호
'회사에 충성', '저녁이 없는 삶', '보여주기식 업무'에 당연한 의문 제기
◇90년대생 신입들의 직장생활
△평생직장? 이직은 자유롭게 (출처: 사람인)
최근 1년간 퇴사율 17.90%
1년 차 이하 직원 퇴사율 27.80%
*직원들이 바라본 최근 2년간 퇴사율 추이
비슷하다 57.90%
높아졌다 28.30%
낮아졌다 13.80%
*퇴사율 낮추기 위한 기업의 노력
워라밸 확보를 위한 정시퇴근 38.40%
근무환경 개선 37%
복지혜택 확보 36.60%
성과에 따른 보상체계 확립 30.70%
인력 충원으로 업무 강도 완화 27.20%
△90년대생의 직장 선택 1순위는? (출처: 중소기업중앙회 '직장 선택 시 고려 요소 및 요소별 중요도 분석 결과')
근로시간 38%
급여 수준 33%
조직문화 28%
△선배들이 바라본 90년생 신입 (출처: 잡코리아)
장점
컴퓨터 능력 34.4%
창의성 27.5%
글로벌 능력 25.6%
단점
책임감 32.3%
끈기 29.2%
성실성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