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에너지 중심 에너지 전환, 기후 변화 대응하는 혁신 트렌드”
“재생에너지 확대, ‘내 삶도 좋아질 수 있다’는 공감대 중요”
◇“재생에너지 중심 에너지 전환,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글로벌 혁신 트렌드” = 툰베리나 김도현 군과 뜻을 함께하는 사람들이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 모였다. 23~25일 열리는 ‘2019 세계재생에너지총회’에 참여하기 위해서다. 2004년 처음 시작한 세계재생에너지총회는 재생에너지 분야 최대 민간 콘퍼런스다. 올해도 108개국에서 3500여 명이 참여했다.
23일 만난 이용필 산업통상자원부 신재생에너지정책과장은 이번 행사 기획과 준비 실무를 이끌었다. 이 과장은 “전 세계에서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움직임이 있고, 우리나라도 재생에너지 확산 방안을 논의하고 이에 기여한다는 점을 알리기 위해 행사를 준비했다”며 유치 배경을 설명했다. 그는 재생에너지를 중심으로 한 에너지 전환을 기후 변화에 대응하고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는 ‘글로벌 트렌드’로 설명했다.
◇“재생에너지 확대, ‘내 삶도 좋아질 수 있다’는 공감대가 중요” = 올해 행사는 산업부뿐 아니라 서울시와 국제 재생에너지 정책 네트워크인 ‘REN 21’이 공동 주최했다. 역대 세계재생에너지총회 가운데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함께 행사를 준비한 건 한국이 처음이다. 재생에너지 보급에 필요한 중앙정부·지방정부 사이 팀플레이에 주목했기 때문이다. 이 과장은 “세계에너지총회 최초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행사를 공동 개최하면서 재생에너지 확산을 위한 협업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높이 평가했다.
이 과장은 특히 지역 수용성을 위한 협업 필요성을 강조했다. 지역 주민들의 동의를 끌어내지 못하면 재생에너지를 적극적으로 확대해 나가기 어렵기 때문이다. 전통적인 에너지원(原)과 달리 재생에너지 시설은 분산형이나 소규모 설비가 많아 주민 수용성이 더욱 중요하다. 그는 “앞으로 재생에너지를 지속해서 확대해 나갈 텐데 이를 위해선 ‘재생에너지를 이용하면 내 삶도 좋아질 수 있다’는 공감대가 중요하다”고 힘줘 말했다.
주민들에게 이 같은 믿음을 심어주기 위해선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이 중요하다. 이 과장은 “소규모 사업에선 지자체가 지역 상황을 (중앙정부보다) 잘 파악할 수 있고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 문제 등도 정확히 살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재생에너지 보급에 관한 오해도 지자체가 중간에서 풀어줄 수 있다”고도 덧붙였다. 그러면서 경남 함안군을 모범 사례로 들었다. 지자체가 행정 지원과 오해 해소에 적극적으로 나선 덕에, 이제는 주민이 먼저 신재생에너지 확대를 요구할 정도가 됐다.
이 과장은 “산업부도 지자체가 재생에너지 관련 계획을 더 세밀하게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하려 한다”며 “애로 사항이나 보완해야 할 점이 있다면 산업부는 제도 개선을 통해서, 지자체는 현장 활동을 통해서 해결하는 협력 체계를 갖추려 한다”고 말했다.
◇“재생에너지 산업, 한국이 경쟁력 가진 부분으로 키워 나가야” = 올해 세계재생에너지총회에선 재생에너지를 지속 가능한 신(新)성장 동력으로 육성하는 문제도 화두로 올랐다. 개막식 기조연설을 맡은 반기문 국가기후환경회의 위원장은 “더는 현 세대 생존을 위해 미래 세대를 위협하지 않는 지속 가능한 사회를 만들어야 할 것”이라며 “이제는 우리 미래 삶의 질을 결정할 녹색성장으로 제2의 한강의 기적을 꿈꿔야 할 때”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도 “재생에너지 분야의 적극적 투자를 바탕으로 새로운 성장 기회를 만들어 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 과장의 생각도 비슷하다. 그는 “전 세계적으로 재생에너지 수요가 늘어나고 있고 산업도 커지고 있다”며 “한국은 재생에너지 확대에 필요한 기술이나 제품에 대한 잠재력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재생에너지 산업을 한국이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분야로 키워나가야 한다”고 힘줘 말했다.
이 과장은 재생에너지 산업을 육성할 때 수소, 연료 전지 등 신(新)에너지를 함께 활용하면 시너지를 이룰 수 있다고 설명했다. 날씨에 따라 발전량이 크게 오르내리는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신에너지를 통해 보완할 수 있어서다. 예를 들어 일조량이 많거나 바람이 많이 불어 재생에너지 발전량이 수요 이상으로 많아질 때, 그 전기로 물을 분해해 수소를 만들면 상대적으로 손쉽고 경제적으로 에너지를 보관할 수 있다. 반대로 날이 궂거나 바람이 적은 날에는 미리 확보한 신에너지를 활용하면 줄어든 재생에너지를 보충할 수 있다. 그는 “재생에너지와 신에너지를 함께 활용하면 에너지를 운송할 때 훨씬 편리하고 주민 수용성 측면에서도 더 유용하다”고 말했다.
◇“에너지 시장 주도권, 공급자에서 소비자로… 녹색 요금제는 녹색 프리미엄” = 시장 혁신도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중요 과제다. 그간 에너지 시장이 대규모 사업자 중심으로 짜여 있었다면 앞으론 소규모 사업자는 물론 수요자도 직접 재생에너지를 생산·판매할 수 있도록 시장을 개편하겠다는 게 산업부 등의 구상이다. 공급자 중심의 일방적인 재생에너지 확산 정책에서 벗어나 소비자가 에너지 공급자에게 재생에너지 확산을 요구하고 그에 따른 유인을 제공할 수 있도록 시장 메커니즘을 만드는 일도 필요하다.
이를 위해 한국전력공사와 한국에너지공단 등은 다음 달 ‘재생에너지 사용 인정 제도’를 시범 운용하기로 했다. 기업들의 자발적인 RE100(소비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자는 캠페인) 참여를 위한 제도적 발판이다. 재생에너지 사용 인정 제도는 기업이 직접 재생에너지를 생산하거나 녹색 요금제(기업이 기존 요금제보다 더 높은 전기 요금을 내고 재생에너지를 통해 생산한 전기를 구매하는 제도) 등을 통해 재생에너지 전기를 사들이면 에너지공단 등이 인증서를 발급해주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LG화학 등 국내 대기업도 동참 의사를 밝혔다. 이 과장은 이 같은 흐름을 “공급자에서 소비자로 시장 주도권이 넘어가는 게 재생에너지 시장의 방향”이라며 “녹색 요금제는 기후 변화 대응에 기여하기 위해서 추가 부담을 감내하겠다는 녹색 프리미엄”이라고 평가했다.
이 과장은 “이번 세계재생에너지총회에서 어떻게 재생에너지를 확대하고 기후 변화에 대응할 것인지 논의할 것이다”며 “이 같은 부분에서 전 세계 시민들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좋은 방안이 도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