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승폭 더 커진 서울 아파트값…양천·강남구 전세·매매 모두 강세

입력 2019-12-05 14: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0.13% 올라

▲12월 첫째주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자료 제공=한국감정원)
▲12월 첫째주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자료 제공=한국감정원)

서울 아파트값이 상승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매물 품귀 속에서 23주째 오름세를 탔다. 종합부동산세(종부세) 인상으로 고가주택 및 다주택 보유에 대한 심리적 부담이 커지는 분위기이지만 시중에 나도는 풍부한 유동성에 매물 부족, 글로벌 비즈니스 센터(GBC) 허가 등의 개발 호재들로 상승폭은 더 확대됐다.

특히 서울에서는 양천구와 강남구 등 교육특구 지역들이 매매ㆍ전셋값 상승률에서 모두 1,2위를 차지할 만큼 높은 오름폭을 보였다.

5일 한국감정원의 주간 아파트 동향에 따르면 이번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13% 오르며 지난주보다 상승폭이 더 확대됐다.

강북 14개구는 0.07%, 강남 11개 구는 0.18% 상승했다. 강북에서는 마포구 (0.10%)와 성동구(0.09%) 등이 기존 아파트의 갭 메우기에 힘입어 강세를 나타냈다.

강남에서는 강남4구(서초·강남·송파·강동구)의 상승폭이 지난주 0.18%에서 이번주 0.21%로 확대됐다. 저평가됐던 단지들의 갭 메우기와 GBC 허가로 인한 기대감이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감정은 설명했다. 특히 양천구와 강남구는 학군수요와 매물 부족으로 각각 0.31%, 0.27%를 보이며 서울에서 가장 높은 상승폭을 보였다.

아파트 전셋값도 양천구(0.27%)와 강남구(0.22%)는 서울에서 나란히 1, 2위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서울 아파트 전세값 상승폭(0.10%)의 두 배를 웃도는 수치다.

전년보다 감소한 신규 입주물량, 청약대기 수요 증가, 자율형사립고 폐지 및 정시 확대 등의 요인들이 서울 아파트 전셋값을 밀어올리고 있다는 게 감정원의 설명이다.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10% 오르며 지난주(0.09%)보다 상승폭이 커졌다. 수도권(0.13%→0.15%)은 상승폭이 확대된 반면 지방(0.06%→0.05%)은 상승률이 소폭 줄었다.

수도권에서는 과천시(0.88%)가 신축 및 재건축아파트 강세로, 하남시(0.59%)는 구도심 및 미사신도시의 상승세로 가격이 뛰었다. 부산(0.11%)과 울산(0.17%)도 모두 가격이 올랐지만 상승폭은 전 주보다 축소됐다.

전국 아파트 전셋값은 지난주 상승률과 같은 0.09% 올랐다. 수도권(0.14%)과 지방(0.05%) 역시 지난주와 같은 상승폭을 보였다.

과천시(1.21%)는 입주 물량 부족과 청약 대기 수요 영향에 매물 품귀 현상이 지속되면서 지난주(1.04%)보다 상승폭이 더 확대됐다. 성남(0.22%)과 광명시(0.21%) 등도 강세를 보였다.

지방에서는 강원(-0.08%)과 전북(-0.06%), 제주(-0.03%)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지역에서 전셋값이 상승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플레이브가 방송 못 나온다고?"…때아닌 버추얼 아이돌 논란, 왜? [이슈크래커]
  • '김새론 사망'에 악플러들 비판…"악플 문제, 제도장치 마련해야"[이슈크래커]
  • 금 뜨자 주목받는 은…"아직 저렴한 가격"
  • 단독 ‘백약이 무효’ 작년 상반기 보험사기액 6028억…올해 최대치 경신 전망
  • 상승 재료 소진한 비트코인…9만6000달러 선에서 횡보 [Bit코인]
  • [날씨] 다시 찾아온 '추위'…아침 최저 -8도
  • 트럼프 “러·우 둘다 싸움 멈추길 원해…푸틴과 매우 곧 만날 것”
  • 월세 내기 빠듯한 청년들 위한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제도, 신청 자격은? [경제한줌]
  • 오늘의 상승종목

  • 02.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422,000
    • -0.59%
    • 이더리움
    • 4,239,000
    • +4.38%
    • 비트코인 캐시
    • 501,000
    • +0.2%
    • 리플
    • 4,068
    • -1.09%
    • 솔라나
    • 276,200
    • -3.83%
    • 에이다
    • 1,240
    • +6.62%
    • 이오스
    • 975
    • +1.77%
    • 트론
    • 369
    • +1.1%
    • 스텔라루멘
    • 519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60,650
    • +1.51%
    • 체인링크
    • 29,550
    • +3.65%
    • 샌드박스
    • 615
    • +3.3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