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 환자가 전국에서 대거 발생하면서 이들을 치료해야 하는 병상이 부족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특히 확진자가 급증한 대구와 경북, 부산의 음압병실은 이미 다 찬 상태로 이 지역에 남아 있는 음압병실이 없다. 정부가 대안으로 추가 전담병원을 지정하고 있지만, 코로나19 확진 환자 증가 속도를 따라잡지 못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24일 방역 당국에 따르면 현재 국가지정 입원 치료 병상을 운영하는 의료기관은 모두 29곳이다. 이들 의료기관이 보유한 음압병실은 161곳, 병상은 198개다.
음압병실은 기압 차이를 만들어 공기 중의 바이러스를 외부로 나가지 못하게 하는 시설로, 전파·확산 가능성이 큰 감염병의 경우 치료를 위해 꼭 필요하다.
24일 기준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의 지역별 가동률은 서울 77.4%, 부산 100%, 대구 100%, 인천 25%, 광주 83.3%, 대전 50%, 울산 20%, 경기 76.9%, 강원 100%, 충북 60%, 충남 42.9%, 전북 25%, 전남 0%, 경북 100%, 경남 75%, 제주 37.5%에 이른다. 확진 환자가 몰린 부산과 대구, 강원, 경북은 이미 100%인 상황이다.
감염병이 유행하면 정부는 국가지정 의료기관을 포함해 지역 거점 병원, 민간 의료기관 등이 보유한 병상을 준비시키고, 방역 체계를 마련한다. 이에 따라 현재 사용 가능한 전국의 음압병실은 755곳, 병상 1027개다.
전국적으로는 1000여 개가 넘지만 서울, 경기, 부산 등을 제외한 지역에서는 20~30개 수준에 불과하다. 그렇기 때문에 대구·경북 사례처럼 한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면 이들을 수용하는 데 어려움이 생긴다.
정부는 음압병상이 부족할 경우 환자 중증도에 따라 음압병상 또는 일반격리병실까지 사용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현재 대구와 경북 지역에서는 전담병원을 지정하고 이번 주까지 일반 환자를 다른 병원으로 모두 이송할 계획이다.
김강립 중앙사고수습본부 부본부장은 “중증환자가 발생할 경우 음압병실이 있는 기관과 연결하고, 이동형 음압병상도 운영해 대응하겠다”며 “경증 환자를 위한 병상은 최대 1만 개까지 확보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당장 확보가 되지 않을 경우 환자 급증과 위중 환자 발생 시 대처가 늦어질 수 있다. 한 의료계 관계자는 “폐렴환자가 코로나19에 감염되면 위중한 상태에 빠질 수 있고, 감기와 비슷한 초기 상태에서도 전염력이 크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관리가 매우 중요한 시점”이라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