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분기(1~3월) 전국 땅값이 0.9% 올랐다. 토지 거래량은 3% 늘었다.
27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1분기 전국의 지가 상승률은 0.92%로, 상승폭이 전 분기(1.01%) 대비 0.09%포인트(p) 하락했다. 국내에서 코로나19가 본격화된 2월 이후 땅값 상승률과 거래량 증가세가 둔화했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지난해 동기(0.88%)와 비교하면 0.04%p 소폭 상승했다.
국토부는 “2월 이후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대부분 지역에서 상승폭이 둔화하면서 지난해 4분기 지가변동률 대비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대구는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한 2월부터, 다른 지역은 3월부터 토지 거래량이 감소하며 지가 변동률 상승폭이 둔화됐다”고 부연했다.
지역별 지가 변동률을 보면 전년 동기보다 수도권(0.99%→ 1.15%)은 상승폭이 확대됐다. 지방(0.69%→0.53%)은 상승폭 둔화됐다.
수도권은 서울(1.23%), 경기(1.07%), 인천(1.06%) 순으로 높았다. 서울·경기·인천 모두 전국 평균(0.92%)을 웃돌았다.
서울은 송파구(1.47%)와 마포구(1.46%)가 땅값 상승을 견인했다. △송파구는 거여·마천 재정비촉진지구 사업 진척 기대감 및 9호선 노선 대로변 상업용‧ 수요 증가 △마포구는 재개발·재건축(아현1구역, 공덕1구역, 염리4구역 등) 진척에 따른 투자수요 증가 등이 주요 변동 사유로 꼽힌다.
경기는 성남시 수정구(1.92%)와 중원구(1.65%), 하남시(1.84%), 광명시(1.83%), 과천시(1.59%)가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지방에서는 대전(1.33%)이 가장 많이 올랐다. 세종(1.16%), 광주(1.09%)와 함께 3개 시·도는 전국 평균을 웃돌았다.
제주 서귀포시(-0.95%)와 제주시(-0.93%), 울산 동구(-0.29%), 경남 창원시 의창구(-0.28%)와 원성산구(-0.24%) 등은 땅값이 하락했다. 대전은 유성구(1.56%)와 중구(1.44%)가 땅값 상승을 이끌었다.
세종시는 서울-세종고속도로, 스마트 국가산단 등 개발사업 진척에 따른 지가 상승 기대감이 반영됐다. 제주의 경우 코로나19 영향으로 방문객이 줄고 지역 경기가 침체되면서 지가 하락으로 이어져 –0.94%를 기록했다.
전국의 용도지역별로 보면 주거(1.07%), 상업(0.95%), 녹지(0.76%), 계획관리(0.69%), 공업(0.66%), 농림(0.63%), 생산관리(0.49%), 보전관리(0.39%) 순으로 상승했다.
이용 상황별로 보면 상업용(1.02%), 주거용(1.00%), 답(0.71%), 전(0.68%), 공장용지(0.62%), 기타(0.44%), 임야(0.43%) 순으로 올랐다. 기타는 여객자동차터미널, 골프장, 스키장, 염전, 광업용지 등이다.
1분기 전체 토지(건축물 부속토지 포함) 거래량은 488.7㎢로 집계됐다. 약 87만1000필지로 서울 면적의 0.8배 규모다.
이는 전 분기보다 3.0%, 전년 동기보다는 29.5% 각각 늘어난 수치다. 특히 1분기에는 매매 거래가 1년 전보다 55.2% 급증했다. 건물용도 중 주거용 토지 거래량 증가분이 전체 토지 거래량 증가분의 약 91%를 차지했다.
건축물 부속토지를 제외한 순수토지 거래량은 약 26만7000필지(445.4㎢)로 조사됐다. 전 분기 대비 0.5%, 전년 동기대비 1.0% 각각 증가했다.
지역별 토지 거래량(%)은 전년 동기대비 제주(-15.3), 울산(-10.4), 경북(-4.4)에서 감소했다. 나머지 14개 시·도는 늘었다.
순수토지 거래량은 제주(-26.5), 울산(-18.5), 경북(-7.1), 인천(-4.9) 등이 줄었다. 대전(37.8), 서울(20.5), 부산(16.2) 등은 증가했다.
용도지역별로 보면 주거(52.9), 상업(36.7), 공업(32.5), 녹지(10.5), 관리(0.6) 지역 거래량은 늘었다. 개발제한구역(-37.7), 자연환경보전(-23.9), 농림(-1.6) 지역의 거래량은 감소했다.
지목별로는 대(44.7), 기타(잡종지 등 11.3), 답(5.9), 전(2.9) 거래량이 증가했다. 임야(-6.0), 공장용지(-4.8) 거래량은 줄었다.
건물용도별로는 주거용(60.8), 상업업무용(15.9), 공업용(9.4), 나지(0.7), 기타건물(0.3) 순으로 거래량이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