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2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중대본) 회의를 주재하고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기획재정부)](https://img.etoday.co.kr/pto_db/2020/05/20200514101802_1459897_1200_738.jpg)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중단됐던 재정일자리 공급과 공공부문 신규채용을 재개한다. 앞선 고용안정대책에서 발표한 ’직접일자리 55만 개+알파(α)‘ 공급에도 속도를 낸다. 정부가 재정으로 공급하는 일자리 규모는 총 154만3000개에 달한다.
정부는 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제3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경제 중대본) 회의에서 이 같은 ’공공부문 중심 고용충격 대응방안(Ⅰ)을 확정했다. 이번 대책은 통계청의 4월 고용동향에서 지난달 취업자 수가 전년 동월보다 47만6000명 급감하는 등 코로나19 고용충격이 본격화하고 있는 데 따른 조치다.
먼저 본예산 사업으로 계획된 직접일자리 94만5000개 공급을 5월부터 재개한다.
현재까지 정부는 계획인원 중 77만8000명을 선발했으나, 44만6000명은 코로나19 확산으로 휴직 중이다. 우선 야외·온라인 등 감염 우려가 작은 활동으로 전환 가능한 일자리를 추려 재개하고, 감염 확산 우려가 큰 일자리는 방역상황을 고려해 순차적으로 재개한다. 아직 선발하지 않은 16만7000명은 면접 등 선발절차, 교육일정 등을 신속히 추진해 5·6월 중 최대한 채용한다.
관련 뉴스
사업별로 5월에는 신중년 사회공헌 활동지원(2500명), 국내지식재산권 보호활동(121명), 국가기록물 정리사업(115명) 등이, 6월에는 신중년 사회공헌 활동지원(2500명), 국가기록물정리(50명), 농식품수출시장다변화(46명) 등이 각각 채용 예정돼 있다.
정부는 실직자, 휴·폐업자, 소득 감소 특수형태근로종사자·프리랜서 등 코로나19 피해계층에 직접일자리를 우선 제공할 방침이다.
여기에 추가경정예산안(추경) 사업으로 비대면·디지털 등 직접일자리 55만 개를 추가 마련한다. 공공부문에선 비대면·디지털 일자리 10만 개와 취약계층 공공일자리 30만 개를 공급한다.
비대면·디지털 일자리의 주요 분야는 공공데이터구축, 온라인콘텐츠기획·제작지원, CV 방역 등으로, 주 근로시간은 15~40시간이며 최대 6개월간 근로가 가능하다. 최저임금이 보장되며, 4대 사회보험도 적용된다. 취약계층 공공일자리는 저소득층, 실직자, 휴·폐업자와 청년이 우선선발 대상이다. 시·도에서 사업을 설계하면 시·군·구가 시행하게 된다. 정부는 지방자치단체 수요조사 및 조정을 거쳐 5월 중 추진방안을 마련해 확정할 계획이다. 소득보전을 위한 임시 일자리인 만큼, 최저임금이 보장되나 주 근로시간·기간은 각각 30시간, 5개월 이내로 짧다.
민간부문에선 구직청년층 취업애로 완화를 통해 10만 개 일자리를 창출한다. 정보기술(IT) 활용직무에 3개월 이상 청년을 채용한 5인 이상 중소·중견기업에 최대 6개월간 인건비를 지원(5만 명)하고, 청년인턴을 채용한 5인 이상 중소·중견기업에는 최대 6개월간 1인당 월 최대 80만 원을 지원(5만 명)한다.
이 밖에 취업 취약계층을 6개월 이상 고용하기로 한 중소·중견기업에 채용보조금을 지급(5만 명)한다.
추가 직접일자리 공급은 추경안이 국회에서 의결돼야 시행 가능하다. 정부는 21일 제4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추진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국가공무원 2만3000명과 공공기관 2만5000명에 대한 신규채용도 5월 중 개시한다. 부문별 신규채용 인원은 인사혁신처 공개채용 6110명, 경력채용 687명, 경찰 5825명, 해양경찰 1526명, 소방 4844명, 교원 1만2863명, 군무원 4139명 등이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와 같은 긴급 고용·일자리대책은 오늘과 다음 주 2차례에 걸친 경제 중대본 회의에서 그 전체 모습과 세부내용을 집중 논의 후 확정하고 추진해나갈 방침이며, 부족한 소요재원은 3차 추가경정예산안에 반영해 적극 뒷받침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