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 ATM 운영 등 디지털 소외계층 대응책 마련 고심
디지털금융이 확대되면서 대표적인 은행 오프라인 서비스인 현금인출기(ATM) 수가 크게 줄고 있다. 금융당국이 보편적 서비스를 내세워 유지하라는 압력을 넣으면서 운영비 부담이 큰 은행들은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28일 국회 정무위 소속 국민의힘 윤재옥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연도별·지자체별 ATM 설치 현황'에 따르면 15개 시중 은행 ATM 기기는 2016년 4만3401대에서 지난 7월 기준 3만5208대로 5년간 8193대가 줄어들었다.
은행별로는 국민은행이 ATM 1892대를 없애 가장 많이 줄였다. 이어 우리은행, 농협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순이었다. 광역단체별로는 강원도가 도내에서 ATM이 4대 중에 1대꼴(25%)로 없어져 가장 많이 줄었다. 경북(21.4%), 서울(21.3%), 충북(21.2%), 대전(20.5%), 충남(20.4%) 순으로 집계됐다.
은행들이 ATM 수를 줄이는 이유는 간단하다. 모바일 뱅킹 사용자가 증가하면서 사용빈도가 줄고 있는 ATM을 줄여 운영비를 절감하겠다는 논리다. ATM기는 대부분 외주 업체에게 맡기고 있어 고비용이 든다. 수수료 수입은 저조해 설치할 수록 적자만 쌓이는 구조다.
ATM의 판매비용은 소프트웨어, 설치비용을 포함해 약 1000만 원이다. 고성능 ATM의 비용의 경우 대당 3000만 원에 달한다. 이에 반해 ATM에서 나오는 수수료 수익은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대부분의 금융업무가 모바일뱅킹을 통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9년전 내렸던 수수료는 여전히 그대로다. 2011년 금감원의 수수료 인하 압박에 건당 1000원 하던 수수료를 700~800원으로 내린 뒤 아직까지 유지하고 있다.
금융당국과 정치권에선 금융사각지대를 위해 ATM 숫자를 유지해야한다는 입장이다.
윤 의원은 "모바일 뱅킹, 간편 결제에 익숙하지 않은 지방 어르신들은 은행 서비스 이용에 심각한 불편을 겪을 수밖에 없다"며"은행 공동 ATM 설치로 운영비를 줄이는 방안을 포함해 유지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금융당국도금융위원회와 한국은행은 지난달 모든 은행의 ATM 실태 파악을 위해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현금 사용층을 배려하고 ATM 배치의 지역 간 불균형을 해소하겠다는 취지다. 하지만 은행권에선 사실상 ATM을 없애지 말라는 경고로 받아들이고 있다.
은행들이 내놓은 대안은 ATM 공동 운영이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 4대 주요 은행은 이마트 4개 지점의 ATM을 하나씩 맡아 운영한다. 운영 비용은 은행들이 공동으로 분담한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모바일뱅킹 서비스가 확대되면서 ATM 감소는 거스를수 없는 추세"라며 "고령자 등 금융 소외계층을 위해 공동 ATM 구축 등 대안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