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경기회복 최대 난관 직면…“소비 살아나지 않아”

입력 2020-12-14 16:40 수정 2020-12-14 17:1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소비 둔화, 회복세 악영향 우려…내수 확대 바탕으로 한 시진핑 경제 성장 전략에도 차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속에서도 나 홀로 성장을 이어가고 있는 중국 경제가 최대 난관에 부딪혔다. 지난 9월 코로나19 종식을 선언한 이후 차근차근 경제 정상화 단계를 밟아나가고 있으나, 경기 회복의 주요 동력 중 하나인 소비가 좀처럼 되살아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13일(현지시간) 미국의 경제매체 CNBC 방송에 따르면 프랑스 금융사 나티시스의 쉬지안웨이 선임 이코노미스트는 “중국의 경제 회복을 배경으로 조금 우려되는 것은 수요 부진, 특히 소비 분야다”며 “소비가 완전히 반등하기까지는 여전히 시간이 필요해 보인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쉬 이코노미스트는 올해 중국의 가계 소득이 전년 대비 소폭 증가하는 데 그쳤다는 점을 언급했다. 올해 1~3분기 중국 도시 가구의 평균 가처분 소득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8%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소득이 전년 대비 7.9% 불어났던 것을 감안했을 때, 증가세가 크게 둔화한 셈이다. 소득 증가세 둔화가 소비 부진으로 이어졌다.

이처럼 약한 수요 부진은 최근 중국의 경제지표에서도 나타났다. 지난달 중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월 대비 0.5% 하락했다. 중국의 월간 CPI가 전년보다 하락한 것은 2009년 10월(0.5% 하락) 이후 11년 만에 처음이다. 특히 소비재 물가가 지난해 같은 달보다 1% 떨어졌다. 선젠광 JD디지츠 이코노미스트는 이와 관련해 “중국의 생산 회복은 나쁘지 않지만, 수요는 여전히 약하다”며 “CPI 하락은 중국의 공급이 수요보다 얼마나 큰지를 반영한다”고 설명했다.

전반적으로 생산에 비해 소비 회복이 더딘 이유로는 가계에 대한 중국 정부의 직접적인 지원책 부족이 꼽히고 있다. 일본 노무라홀딩스의 롭 수바라만 글로벌 매크로 리서치 대표는 “전반적으로 중국에서 소비가 둔화했다”며 “그 이유 중 하나는 현재까지 가계에 대한 중국 정부의 직접적인 지원책이 미국이나 유럽에서 행해졌던 것보다 그렇게 강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중국 증시도 미국만큼 강하게 회복되지 않았기 때문에 더 많은 자산을 바탕으로 한 소비에 대한 자신감이 그만큼 크지 않다”고 덧붙였다.

문제는 이러한 추세가 계속될 경우 중국의 경제 성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중국은 최근 전 세계 대부분 국가가 코로나19 사태 충격파로 맥을 못 추는 상황에서 거의 유일하게 ‘V자 반등’을 달성하고 있다. 중국의 국내총생산(GDP)은 올해 2%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요 20개국(G20) 중 플러스 성장이 예상되는 곳은 중국이 유일하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현재까지 이러한 회복세를 이끌어 온 것은 제조업과 수출, 인프라 투자 등 전통적인 성장엔진이었다. 소비가 계속해서 부진한 성적을 기록한다면 경기 회복의 한계는 물론, 내수를 경제 발전의 핵심 원동력으로 삼겠다는 시진핑 지도부의 전략에도 차질이 생길 것으로 예상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금상추에 배추·무까지…식품업계, 널뛰는 가격에 불확실성 고조 [식탁 지배하는 이상기후]
  • 단독 한달 된 '실손24' 60만 명 가입…앱 청구 고작 0.3% 불과
  • 도쿄돔 대참사…대만, 일본 꺾고 '프리미어12' 우승
  • "결혼 두고 이견" 정우성ㆍ문가비 보도, 묘한 입장차
  • ‘특허증서’ 빼곡한 글로벌 1위 BYD 본사…자사 배터리로 ‘가격 경쟁력’ 확보
  • [식물 방통위] 정쟁 속 수년째 멈춤…여야 합의제 부처의 한계
  • 이재명 오늘 '위증교사' 선고...'고의성' 여부 따라 사법리스크 최고조
  • 성장률 적신호 속 '추경 해프닝'…건전재정 기조 흔들?
  • 오늘의 상승종목

  • 11.25 10:3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4,261,000
    • -1.86%
    • 이더리움
    • 4,584,000
    • -3.84%
    • 비트코인 캐시
    • 691,500
    • -4.09%
    • 리플
    • 1,891
    • -8.2%
    • 솔라나
    • 342,800
    • -4.75%
    • 에이다
    • 1,354
    • -9.25%
    • 이오스
    • 1,116
    • +2.95%
    • 트론
    • 285
    • -4.68%
    • 스텔라루멘
    • 701
    • -1.27%
    • 비트코인에스브이
    • 93,200
    • -5.72%
    • 체인링크
    • 24,130
    • -3.21%
    • 샌드박스
    • 990
    • +57.8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