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 준공업지역 부동산 시장이 들썩인다. 정부가 추진하는 순환정비 사업이 개발 마중물 역할을 할 것이라는 기대에서다.
3월께 시범사업지 3~4곳 선정 계획
변창흠 "준공업지역 주택 충분히 공급할 수 있어"
시범사업지엔 산업부지 확보 의무를 완화하고 융자도 지원해준다. 국토부 등은 다음 달까지 서울 준공업지역에 3000㎡ 이상 공장용지를 가진 토지주에게 공모를 받아 3월 중 시범사업지 3~4곳을 선정하기로 했다.
서울 시내 준공업지역은 약 1998만 ㎡에 이른다. 주로 영등포구(502만 ㎡)나 구로구(428만 ㎡), 금천구(412만 ㎡), 강서구(292만 ㎡) 등 서울 서남권이나 성동구 성수동(205만 ㎡) 등에 몰려 있다. 산업화 시대에 조성된 서울 시내 준공업지역은 주거지역보다 용적률ㆍ건폐율 규제가 느슨하고 도심 접근성도 좋지만 다른 지역보다 개발 속도가 더뎠다. 건물 용도 제한이 엄격하게 적용되면서 다른 용도로 짓는 게 쉽지 않아서다.
이 때문에 부동산시장에선 규제만 완화되면 준공업지역 개발은 시간 문제라고 봤다. 국토부가 추진하는 준공업지역 순환정비사업은 이런 기대를 충족시켜 줄 신호탄이 될 수 있다. 변창흠 국토부 장관은 취임 전부터 "서울시 준공업지역은 분당신도시와 비슷한 20㎢ 규모로, 4차 산업으로의 전환에 맞춰 혁신공간과 함께 주택도 충분히 공급할 수 있다"며 강한 개발 의지를 드러내 왔다.
요즘 준공업지역 부동산 시장이 크게 들썩이고 있다. 순환정비 사업지가 아니더라도 개발 기대감 때문이다. 서울의 다른 지역보다 부동산 가치가 저평가된 만큼 '가격 따라잡기' 현상이 본격화할 수 있다는 바람도 있다. 지난해 서울 준공업지역에서 매매된 비주거(상업용ㆍ업무용) 건물의 평균 매매가격은 3.3㎡당 1759만 원이었다. 아직 서울 평균 거래가격(2586만 원)보다 저렴하다.
일부 지역에선 몸값이 3.3㎡당 1억 원을 넘어선 비주거용 건물도 나오고 있다. 지난해 11월 성동구 성수동1가에선 60년 된 연면적 56㎡ㆍ대지면적 74㎡짜리 상가 건물이 23억 원에 팔렸다. 3.3㎡당 가격이 1억3500만 원이 넘는다. 영등포구 문래동4가에서도 연면적 47㎡ㆍ대지면적 149㎡ 넓이의 기계상 건물이 3.3㎡당 1억2500만 원이 넘는 17억9500만 원에 거래됐다.
가격 상승세가 가파르다 보니 일선 공인중개업소에선 자산가들에게 주거지역보다 준공업지역 투자를 권하기도 한다. 성수동 S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돈만 있으면 주거지역보다 준공업지역에 투자하는 게 낫다"며 "이 동네 같은 경우 준공업지역 집값이 이웃 재개발 구역(성수전략정비구역)이나 노후 아파트보다 비싸다. 용적률부터 차이가 나는 데 당연하지 않느냐"고 말했다. 그는 "입지에 따라 다르겠지만 준공업지역 내 단독주택 중엔 시세가 3.3㎡당 7000만 원 선에 형성된 곳도 있다"고 전했다. 성수동 '성수 롯데캐슬파크' 아파트는 현재 3.3㎡당 약 4000만~5000만 원에 거래되고 있다.
고준석 동국대 법무대학원 겸임교수은 "준공업지역에 땅을 가진 사람은 가진 사람은 대부분 민간 토지주인 만큼 용적률 상향 등 인센티브를 통해 참여를 끌어내고 주거 편의 시설을 확충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