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선박 발주량 급증에…신조선가도 쑥쑥

입력 2021-05-10 13:2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달 초 신조선가지수 134포인트…올해 1월 대비 7포인트 증가

▲현대중공업이 건조한 LNG선의 시운전 모습.  (사진제공=한국조선해양)
▲현대중공업이 건조한 LNG선의 시운전 모습. (사진제공=한국조선해양)

글로벌 경기 회복에 따른 선박 수요 증가로 신규 선박 가격이 치솟고 있다.

발주량이 앞으로도 늘어날 가능성이 큰 만큼 선박 가격 상승세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10일 영국 조선ㆍ해운 시황 분석업체 클락슨리서치 등에 따르면 신규건조 선박 가격을 평균 지수화한 신조선가지수는 7일 기준 134포인트이다.

올해 1월(127포인트)과 비교했을 때 7포인트 올랐다.

선종별로 살펴보면 VLCC(초대형 원유운반선) 가격은 9300만 달러로 올해 1월(8800만 달러) 대비 500만 달러 상승했다.

컨테이너선(1만3000TEU 기준) 가격은 1700만 달러 오른 1억2100만 달러이다.

한동안 정체기를 보였던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17만4000㎥ 기준) 가격은 올해 1월보다 200만 달러 상승한 1억8850만 달러이다.

신조선가는 작년만 하더라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내림세를 탔다.

지난해 12월 신조선가지수는 126포인트로 연초(130) 대비 4포인트 하락했다.

신조선가지수가 오르는 것은 최근 글로벌 선박 발주량이 급증해서다.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4월 글로벌 선박 발주량은 전년 동기 대비 172% 오른 1543만CGT(485척)이다.

신조선가 상승세는 앞으로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클락슨리서치는 올해 글로벌 선박 발주량 전망치를 작년 9월 2380만CGT에서 올해 3월 3150만CGT로 상향 조정한 바 있다.

삼성증권 한영수 연구원은 “(최근 급격히 증가한) 컨테이너선 발주가 일단락 되더라도 유조선 등 다른 선종에서 수주 모멘텀이 이어질 것”이라고 했다.

철강 가격 증가 또한 신조선가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조선사들이 수익성 악화를 막기 위해 철강 가격에 비례해 선박 가격을 올려야 하기 때문이다.

한국조선해양은 올해 1분기 실적 콘퍼런스콜에서 “(최근 조선업황은) 과거 슈퍼 사이클 진입 직전인 2003년 초입과 유사한 상황”이라며 “현재 수주잔고가 2년 6개월 치를 넘어서는 상황이어서 선주와의 가격 협상에서 조선사가 우위에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30대 상무ㆍ40대 부사장…삼성전자 임원 인사 키워드는 ‘다양성‧포용성’
  • 차기 우리은행장에 정진완 중소기업 부행장…'조직 쇄신ㆍ세대 교체' 방점
  • 동물병원 댕댕이 처방 약, 나도 병원서 처방받은 약?
  • “해 바뀌기 전 올리자”…식음료업계, 너도나도 연말 가격인상, 왜?!
  • 고딩엄빠에서 이혼숙려캠프까지…'7남매 부부' 아이들 현실 모습
  • 어도어, 뉴진스 '계약 해지' 기자회견에 반박…"전속계약 여전히 유효"
  • 29일까지 눈..."낮아진 기온에 빙판길 주의"
  • 래퍼 양홍원, 25살에 아빠 됐다…"여자친구가 해냈어"
  • 오늘의 상승종목

  • 11.29 12:1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4,287,000
    • +1.19%
    • 이더리움
    • 4,991,000
    • -0.42%
    • 비트코인 캐시
    • 716,000
    • +0.21%
    • 리플
    • 2,184
    • +7.32%
    • 솔라나
    • 337,100
    • +0.48%
    • 에이다
    • 1,471
    • +5.07%
    • 이오스
    • 1,132
    • +0.53%
    • 트론
    • 282
    • +1.08%
    • 스텔라루멘
    • 692
    • +2.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97,200
    • -0.61%
    • 체인링크
    • 24,960
    • -0.87%
    • 샌드박스
    • 920
    • +10.9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