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코로나 19로 인한 비대면 상황에서 우울증을 예방ㆍ관리하는 디지털 치료제 플랫폼 개발에 나선다. 정부는 4년간 289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디지털 치료제는 게임, 가상ㆍ증강현실(VRㆍAR), 챗봇, 인공지능 등의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과잉행동 장애(ADHD), 치매, 뇌전증, 강박 장애 등의 질병을 예방ㆍ치료ㆍ관리하는 기술이다.
세계 시장은 2018년 21.2억 달러에서 2026년 96.4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국연구재단과 ‘포스트 코로나 시대 비대면 정서장애 예방 및 관리 플랫폼 기술 개발’ 연구의 주관기관으로 한양대학교 인텔리전스컴퓨팅학부 김형숙 교수팀을 선정하고, 15일 3세대 치료제 연구자 간담회(디지털치료제 분야)를 가졌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조사에 따르면 우울증 환자는 2018년 75만 명에서 2019년 79만 명으로 5.9% 증가했고 진료비도 12%로 늘어나는 추세다. 코로나 19로 인한 활동제약, 불경기, 불안감 등으로 우울증 환자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연구가 비대면으로 우울증을 예방하거나 환자를 치료하는 디지털 치료제를 개발해 우울증으로 인한 사회문제 해결의 핵심 수단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김형숙 교수팀은 신체활동과 인지 뇌과학에 기반을 둔 디지털치료제를 통해 우울 행동 특성 데이터셋을 구축하고, 수집된 데이터가 클라우드컴퓨팅 상에서 자동으로 연계되도록 분석ㆍ표준화를 연구한다. 인공지능 전문가인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한보형 교수팀은 연구 과정에서 수집된 다양한 데이터를 활용해 자기 지도학습, 전이학습, 주의집중기반 특징 통합 등을 통해 우울 상태진단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고도화를 담당한다.
임상 전문가인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홍진 교수팀은 우울증 디지털 치료제의 인허가를 위해 임상 유효성 검증 및 임상 시험과 디지털 치료 플랫폼을 연동한 진료 표준화 시스템 연구를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클라우드컴퓨팅 전문가인 네이버클라우드 류재준 이사팀은 비대면 정서장애 디지털 치료 플랫폼 및 임상 검증을 위한 클라우드 인프라와 디지털 치료 비즈니스 생태계 구축을 맡는다.
연구를 통해서 실시간으로 이용자 자료를 수집, 분석, 처리, 활용해 개인별로 최적화된 우울증 진단 및 치료 서비스 제공한다. 또 우울증을 예방하고자 하는 일반인도 휴대전화, 태블릿PC 등의 기기를 활용해 우울증 진단ㆍ치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