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네이버 주가는 이달 들어서만 8.77% 빠졌다. 같은 기간 20.97% 하락한 카카오보다는 낙폭이 작지만 덩달아 규제 리스크를 떠안은 개미들은 “이게 다 카카오 때문이다”고 토로하고 있다. 정치권의 ‘빅테크 때리기’가 카카오를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어서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13일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카카오의 골목상권 침해 논란에 대해 “독점적 재벌의 행태를 되풀이한다면 강제적 조치가 필요하다”고 대답했다. 공정거래위원회가 규제 가능성을 시사한 데 이어 정부 차원에서 플랫폼 기업에 대한 강력한 관리 감독 체계의 필요성을 또 한 번 강조한 것이다.
국회 역시 여권을 중심으로 분주하게 움직이는 모양새다. 송갑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7일 토론회에서 “카카오가 탐욕과 구태의 상징으로 전락했다”며 강도 높은 비판을 이어간 데 이어 심상정 정의당 의원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플랫폼 독점방지법’을 마련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증권가에서는 정부와 여당의 플랫폼 규제가 사실상 카카오를 겨냥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네이버의 주가 조정은 다소 과도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가장 큰 쟁점인 골목상권 침해 논란에서도 네이버는 비교적 자유롭다는 평가다. 그간 1위 포털 사업자로서 시장의 독과점 우려에 시달리면서 중소상공인의 반발에 빠르게 대처했고, 사업 확장에 있어서도 보수적인 태도를 견지한 결과다.
오히려 네이버의 전략은 골목상권과의 ‘상생’에 가깝다. 스마트스토어 수수료 무료, 빠른 정산 등 사업자들에게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정호윤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네이버의 경우 아이러니하게 국내에서 소극적인 사업확장을 해오다 보니 골목상권 침해 이슈에서 비교적 자유롭다”며 “대표적인 플랫폼 사업인 네이버쇼핑 역시 갑질 논란에서 자유롭다”고 설명했다.
25일부터 전면 시행되는 금소법 영향도 미미할 전망이다. 김현용 현대차증권 연구원에 따르면 금융 규제로 인한 핀테크 매출 타격은 5% 미만으로 매우 제한적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위축된 투자심리가 쉽게 회복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관건은 카카오의 회복세다. 시장 내 위치나 사업 구조, 규모 등이 카카오와 유사한 탓에 주가 역시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어서다.
전날(14일) 카카오가 골목상권 침해 논란 사업에서 철수하고, 5년간 3000억 원의 상생 기금을 조성하겠다는 내용의 상생안을 발표했지만 시장은 주가 반등을 가능케 할 만한 호재로 받아들이지 않는 양상이다.
이날 네이버는 장 초반 전일 대비 1.49%(6000원)까지 반등했지만 다시 하락세로 전환해 0.50% 하락한 40만500원에 장을 마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