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 10명 중 6~7명이 적극적으로 취업활동을 하지 않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전국 4년제 대학 3~4학년 재학생과 졸업생 2713명을 대상으로 '2021년 대학생 취업인식도 조사'를 한 결과 65.3%는 사실상 구직 단념한 상태라고 12일 밝혔다.
'사실상 구직단념'은 구직활동 실태 응답 중 △거의 안 함(33.7%) △의례적으로 하고 있음(23.2%) △쉬고 있음(8.4%) 등을 합한 수치라고 한경연 측은 설명했다.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하고 있다는 응답 비중은 10명 중 1명(9.6%)에 그쳤다.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이유로는 '자신의 역량, 기술, 지식 등이 부족해 더 준비하기 위해(64.9%)'가 가장 많았다. 그 뒤로 △전공 또는 관심 분야의 일자리가 부족해서(10.7%) △구직활동을 해도 일자리를 구하지 못할 것 같아서(7.6%) △적합한 임금수준이나 근로조건을 갖춘 일자리가 부족해서(4.8%) 등 순이다.
기타(9.6%) 의견으로는 대부분 ‘진로 미확정’이라고 답했다.
한경연 관계자는 "청년들이 갈수록 치열해지는 취업경쟁 속에서 스스로의 취업 가능성을 낮게 진단하고 구직 자신감을 잃고 있다"며 "이는 청년들의 노동시장 진입을 늦추고 미래의 성장 동력이 저하되는 결과를 일으킬 것"이라고 우려했다.
대학생 58.6%는 올해 대졸 신규채용 환경이 ‘작년보다 어렵다’고 응답했다. ‘작년과 비슷’(21.3%)의 2.8배, ‘작년보다 좋다’(2.0%)보다는 29.3배에 높은 수준이다.
취업난이도를 반기별로 비교해보면 대학생 42.7%는 올해 하반기 취업환경이 상반기보다도 더욱 악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상반기보다 좋다’고 응답한 비중은 2.6%뿐이었다.
한경연 관계자는 "최근 코로나19 재확산의 영향으로 실물경제 회복의 불확실성이 증대되면서 취업 시장 한파는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고 우려했다.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취업준비과정의 어려움에 대해서는 ‘채용기회 감소로 인한 입사경쟁 심화’(29.3%)를 가장 많이 꼽았다.
그 뒤로 ‘체험형 인턴 등 실무경험 기회 확보 어려움’(23.9%), ‘불안함, 우울함, 자존감 하락 등 심리적 위축 가중’(18.2%), ‘단기 일자리 감소 등 취업준비의 경제적 부담 증가’(16.2%) 등이 꼽혔다.
올해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하는 대학생들은 평균 6.2회 입사 지원을 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 중 서류전형 합격횟수는 평균 1.6회로, 합격률은 평균 25.8%이었다.
한경연 관계자는 "서류합격률은 25.8%에 그치는데, 그 이후 필기시험, 면접 등의 단계를 거칠수록 합격률이 더욱 떨어지기 때문에 실제 취업문은 매우 좁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대학생들이 취업을 희망하는 기업은 △공기업(18.3%) △대기업(17.9%) △정부(공무원)(17.3%) △중견기업(17.1%) △중소기업(11.9%) △외국계 기업(8.6%) △금융기관(3.4%) 등 순이었다.
이에 비해 실제로 취업할 것으로 예상하는 기업은 중소기업(30.1%)이 가장 많았다. 그 뒤로 △중견기업(20.9%) △정부(공무원)(15.2%) △공기업(10.7%) △대기업(7.2%) △외국계 기업(4.4%) 등 순이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중소기업의 취업 예상 비중이 가장 많이 올랐고, 공기업이 가장 크게 줄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좁아지는 취업문 속에서 대다수의 청년이 자신감을 잃거나 원하는 일자리를 찾지 못해 적극적인 구직활동을 하지 않고 있다”라며, “기업규제 완화, 노동유연성 제고 등으로 기업들의 고용 여력을 확충하는 것이 근본적이고 유일한 해결책”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