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통합물관리' 비전 선포 "새로운 물 가치 창출"
정부가 고부가가치 초순수의 생산 기반 100% 국산화를 추진하고, 국내 물 산업 생태계를 육성한다. 2040년까지 댐 내 수상태양광을 환경부 소관 전체 댐으로 확대하고, 2025년부터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홍수예보를 실시한다.
환경부는 24일 춘천 소양강댐 물문화관에서 '통합물관리 비전선포식'을 개최하고 2022년 하천관리일원화 이후 환경부의 물관리 정책 방향을 발표했다.
먼저 2025년까지 반도체용 초순수 생산 기술 100% 국산화를 실현하기 위해 하루 2400톤 규모의 실증 플랜트를 구축하고 핵심 장치 개발을 추진한다. 이와 더불어 2025년까지 공정 운영 기술 및 문제해결 역량을 축적한 270명의 관련 전문 인력(학·석사)을 양성한다.
초순수는 초미세회로로 구성된 반도체 표면에서 각종 부산물, 오염물 등을 세척하는 데 사용되는 필수 공업용수다. 현재 초순수 생산기술은 일본 등 해외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으로 환경부는 2025년부터 초순수 하루 5만 톤을 생산해 국내 반도체 기업에 공급하는 등 해외 초순수 시장 진출의 원동력으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또 2030년까지 세계 최고 수준의 소재·부품·장비 20개 품목을 육성, 미국·유럽 등 선진국 물 시장 진출을 도모한다.
'댐 내 수상태양광' 사업은 2040년까지 환경부 소관 전체 댐으로 점차 확대한다.
환경부는 지난해 국내 최대규모인 합천댐 수상태양광(41㎿)의 설비를 완료하고 친환경 재생에너지 발전을 개시했다. 합천댐의 사례를 개발 예정인 다른 댐의 수상태양광 사업에 적용해 탄소중립을 속도감 있게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소양강댐 인근에 '수열에너지 융복합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광역상수도 관로를 활용한 수열에너지 사업도 지속해서 발굴한다.
가축분뇨·하수 찌꺼기 및 음식물 쓰레기를 바이오가스로 전환하는 '통합 바이오가스화 시설'을 2030년까지 확대하고 법적 기반을 마련한다.
이밖에 AI·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홍수·가뭄과 같은 물 재해와 댐 및 하천 시설에 대해 통합·집중 관리를 실현한다. 2025년까지 AI를 활용해 홍수 예보를 신속하게 하고, 전국 지자체와 광역 취·정수장을 대상으로 스마트 상수도 관리 체계를 내년까지 완성한다.
한정애 환경부 장관은 "하천관리 업무의 이관을 계기로 물관리 일원화 체계가 완비됐다"며 "세계 최고 수준의 스마트한 물 관리를 실현하고, 물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잠재력을 극대화해 재해의 사전 예방으로부터 물 산업의 경쟁력 제고에 이르기까지 모두가 누리고 미래 세대를 준비하는 새로운 물 가치 창출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