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모 작을수록 경영 수준 열악
정책적 지원 방안 마련 필요성
최근 건설업계에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이 화두다. 그러나 정작 건설사들은 ESG 경영을 위한 대응 방안 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ESG 경영 활성화를 위해 정부 차원의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6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발간한 ‘건설업 ESG 경영 실태와 대응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ESG 경영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는지에 대해 전체 응답자의 61.8%가 ‘그렇다’고 답했다. 이 비중은 50위 이내 건설업체에서는 76.7%, 51~100위 건설업체에서는 31.3%로 나타났다. 대형건설업체 위주로 ESG 경영에 관한 관심이 높은 셈이다.
실제로 지난해부터 건설업계는 조직 내 ESG 전담 부서를 신설하는 등의 노력을 펼치고 있다. 삼성물산은 지난해 3월 거버넌스 위원회를 ‘ESG 위원회’로 확대 개편했다. 현대건설과 현대엔지니어링은 ‘투명경영위원회’를 운영하면서 ESG 현안을 살피고 있다. GS건설과 포스코건설도 지난해 각각 ‘ESG 위원회’와 ‘ESG 전담팀’을 꾸렸다.
문제는 건설사들이 정작 ESG 경영에 있어 구체적인 방식과 준비에 관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이다.
현재 건설업체 ESG 경영 수준은 평균 2.6점(5점 만점)으로 ‘보통 이하’로 평가됐다. 규모별로 대형건설업체는 평균 3.2점, 중소건설업체는 평균 1.9점으로 나타났다. 대형건설업체보다 상대적으로 경영환경이 열악한 중소건설업체일수록 ESG 경영 수준이 낮은 것이다.
ESG 경영 추진 시 겪는 애로사항에 대해서는 ‘건설업의 특성을 반영한 ESG 가이드라인 부재’가 55.9%로 1위, ‘ESG 전문가 부재’가 45.8%로 2위, ‘ESG 경영 시행 시 가시적 효과 불분명’이 40.7%로 3위로 나타났다.
특히 51~100위 이내 건설업체는 ‘ESG 가이드라인 부재(62.5%)’, ‘ESG 경영 추진을 위한 높은 비용(43.8%)’, ‘구체적으로 뭘 해야 할지 모르겠음(37.5%)’ 등을 꼽았다. 건설업체의 규모가 작아질수록 ESG 경영을 위한 비용과 실행 방안 마련 측면에서 애로사항이 더 많은 셈이다.
최은정 건산연 연구위원은 “ESG 경영을 위한 건설업체 준비 사항에 대해서도 51~100위 건설업체의 경우 별도의 준비가 부재하다는 응답이 5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건설업체의 규모가 작아질수록 ESG 경영을 위한 자체 대응 방안 마련이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에 ESG 경영이 효율적으로 이뤄지기 위한 정책적 지원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최 연구위원은 “건설업체의 ESG 경영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지원이 모색돼야 한다”면서 “건설업의 특성을 반영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ESG 전문인력 양성과정을 만들고, 우수 실적을 보유한 건설업체에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 등을 고려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