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계, 공동입장문 내고 “화물연대 운송 복귀” 호소

입력 2022-06-12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화물연대) 파업 이틀째인 지난 8일 오후 부산 강서구 부산신항 삼거리에서 화물연대 조합원들이 집회를 열고있다. (연합뉴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화물연대) 파업 이틀째인 지난 8일 오후 부산 강서구 부산신항 삼거리에서 화물연대 조합원들이 집회를 열고있다. (연합뉴스)

경제계가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화물연대)에 대해 공동입장문을 내고 화물연대의 운송 복귀를 호소했다.

12일 한국무역협회, 한국경영자총협회 등 31개 단체는 화물연대 파업에 우려를 표하는 공동입장문을 냈다.

이들 단체는 “최근 우리 경제는 글로벌 공급망 위기, 원자재 가격상승과 물류비 인상의 3중고로 복합위기에 빠져들고 있다”며 “이러한 상황에서 운송사업자 단체인 화물연대의 집단운송거부가 장기화되면서 시멘트, 석유화학, 철강은 물론 자동차와 전자부품의 수급도 차질을 빚고 있어 우리 경제의 버팀목인 제조업과 무역에 막대한 피해가 누적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정부가 비상수송대책을 통한 물류대란 최소화, 대화를 통한 원만한 문제 해결에 노력하고 있지만, 계속되는 화물연대의 집단운송거부로 국가 경제 피해와 함께 국민생활 불편은 더욱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지금은 모든 경제 주체들이 위기극복에 힘을 모아야 할 때이지 자신들의 일방적인 요구를 관철하기 위해 대화를 거부하고 집단행동에 나설 때가 아니다”며 “정부가 대화를 통해 상생의 길을 찾겠다고 밝히고 있음에도 화물연대가 장기간 운송거부를 이어가는 것은 국가물류를 볼모로 하는 극단적인 투쟁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

또 이들 단체는 “화물연대는 우리 국민의 위기극복 노력이 수포로 돌아가지 않도록 집단운송거부를 즉각 중단하고 운송에 복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정부의 대응에 대해서는 “정부는 국민경제 전체에 미치는 막대한 파급효과를 조기에 차단하기 위해서라도 상황에 따라 업무개시명령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며 “화물연대의 운송방해, 폭력 등 불법행위가 발생하는 경우 법과 원칙에 따라 단호히 대처해 산업현장의 법치주의를 확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비트코인, 10만 달러 못 넘어선 채 급락…투심 위축 [Bit코인]
  • 삼성 사장단 인사… 전영현 부회장 메모리사업부장 겸임ㆍ파운드리사업부장에 한진만
  • 서울 폭설로 도로 통제…북악산로ㆍ감청동길ㆍ인왕산길ㆍ감사원길
  • 단독 삼성화재, 반려동물 서비스 재시동 건다
  • 美ㆍ中 빅테크 거센 자본공세…설 자리 잃어가는 韓기업[韓 ICT, 진짜 위기다上]
  • 재산 갈등이 소송전으로 비화…남보다 못한 가족들 [서초동 MSG]
  • 트럼프 관세 위협에… 멕시코 간 우리 기업들, 대응책 고심
  • 韓 시장 노리는 BYD 씰·아토3·돌핀 만나보니…국내 모델 대항마 가능할까 [모빌리티]
  • 오늘의 상승종목

  • 11.27 12:59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9,300,000
    • -1.56%
    • 이더리움
    • 4,696,000
    • -1.72%
    • 비트코인 캐시
    • 690,000
    • -0.65%
    • 리플
    • 1,909
    • -5.17%
    • 솔라나
    • 323,800
    • -2.09%
    • 에이다
    • 1,324
    • -2.07%
    • 이오스
    • 1,093
    • -4.12%
    • 트론
    • 275
    • +0%
    • 스텔라루멘
    • 599
    • -14.91%
    • 비트코인에스브이
    • 91,950
    • -2.54%
    • 체인링크
    • 24,320
    • -0.53%
    • 샌드박스
    • 817
    • -12.0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