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인플레로 임금상승 압력 부담…이재용 사면 경제에 도움될 것”

입력 2022-07-14 09:2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13일 제주도에서 열린 '제45회 제주포럼'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제공=대한상공회의소)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13일 제주도에서 열린 '제45회 제주포럼'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제공=대한상공회의소)

최태원 SK그룹 회장 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은 최근 인플레이션(물가인상) 흐름과 관련해 “물가가 올라 임금상승 압력을 같이 받는 게 (기업에) 장기적으로 제일 어려운 과제인 것 같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13일 제주도에서 개막한 '제45회 대한상의 제주포럼'을 계기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인플레이션에 대한 대처는 예상된 것”이라면서도 “기업 가운데서 사람을 많이 고용하는, 특히 중소기업 쪽에서 훨씬 더 어려움이 배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하반기 경제 침체 전망이 이어지는 것에 대해 “언젠가 다가올 얘기였다”면서 “2008년 리먼 브러더스 사태 이후 한 번도 세계가 긴축을 제대로 해본 적이 없고 계속 돈을 푸는 것으로 버텨왔던 것이 쌓인 데다 여기에 두 가지 문제가 한꺼번에 더 생겨 터진 것”이라고 말했다.

미·중 갈등으로 공급망 체계가 상당히 어려워진 상황에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까지 터지면서 에너지값과 곡물값이 폭등했다는 것이다.

향후 경기 전망에 대해서는 “여태까지 풀려있던 돈들이 인플레이션을 급속히 가중하는 역할을 할 것 같다”며 “경기도 침체국면으로 흐를 것 같고, 내년에도 그렇게 될 것 같다”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최 회장은 “그동안 숱한 사건들이 많아서 (한국 기업들은) 이런 쇼크 정도는 넘어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 전 세계 많은 기업 가운데 대한민국의 체질이 위기에 매우 강한 형태로 짜져있다”면서 “(기업인들은) 위기는 항상 올 것으로 예측하며 살고 있다”고 부연했다.

중국, 일본과의 관계 회복 필요성도 언급했다. 최 회장은 “중국은 좋든 싫든 상당히 큰 시장이기 때문에 포기하는 것은 선택지가 아니다”라며 “가능한 한 경제적으로 계속 협력하고 발전과 진전을 이뤄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아베 신조 전 총리 사망 후 한일 경제협력 가능성에 대해선 “일본과 관계를 정상화하는 것은 꼭 필요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일본과는 외교ㆍ경제적으로 많은 부분이 얽혀 있다”며 “지난번에 일본상의 회장을 만나서 조속한 시일 내 한일 정상회의를 열자고 얘기를 나눴다”고 말했다.

광복절을 앞두고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등 경제인 사면복권 문제가 거론되는 것을 두고는 “경제가 어렵다 보니까 (경제인을) 좀 더 풀어줘야 활동 범위가 넓어지고 자유롭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사면이) 우리 경제에도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는 견해를 밝혔다.

끝으로 ESG(환경ㆍ사회ㆍ지배구조) 경영과 관련해 최 회장은 “지구가 서서히 죽어가고 있다고 하는데 살릴 노력을 얼마나 하고 있고 얼마나 삶을 희생하겠느냐는 질문에 인류가 답해야 하는 문제”라며 “ESG는 무조건 장기적으로 가야 하는 시점”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우울한 생일 맞은 롯데…자산 매각·사업 재편 속도전[롯데, 위기 속 창립 58주년]
  • 트럼프, 모든 국가에 10%+α 상호관세 부과…한국 25%
  • 이민정♥이병헌 쏙 빼닮은 아들 준후 공개…"친구들 아빠 안다, 엄마는 가끔"
  • “매매 꺾여도 전세는 여전”…토허제 열흘, 강남 전세 신고가 행진
  • [살얼음판 韓 경제] ‘마의 구간’ 마주한 韓 경제…1분기 경제성장률 전운 감돌아
  • 챗GPT 인기요청 '지브리 스타일', 이제는 불가?
  • 2025 벚꽃 만개시기는?
  • 병원 외래 진료, 17분 기다려서 의사 7분 본다 [데이터클립]
  • 오늘의 상승종목

  • 04.03 10:25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919,000
    • -1.61%
    • 이더리움
    • 2,714,000
    • -2.93%
    • 비트코인 캐시
    • 445,500
    • -1.66%
    • 리플
    • 3,068
    • -1.89%
    • 솔라나
    • 177,400
    • -4.73%
    • 에이다
    • 971
    • -2.8%
    • 이오스
    • 1,234
    • +22.79%
    • 트론
    • 351
    • -0.85%
    • 스텔라루멘
    • 390
    • -2.26%
    • 비트코인에스브이
    • 46,250
    • -1.99%
    • 체인링크
    • 19,570
    • -4.68%
    • 샌드박스
    • 391
    • -2.4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