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이 6월에 이어 7월에도 사실상 기준금리인 대출우대금리(LPR)를 동결했다.
20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중국 인민은행은 이날 7월 1년 LPR를 3.7%로 동결하기로 했다. 모기지 금리의 기준점이 되는 5년 만기 LPR도 4.45%로 유지하기로 했다. 이는 모두 전월과 같은 수준으로 블룸버그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와 일치하는 결정이다.
LPR는 중국 내 18개 시중은행이 보고한 최우량 고객 대출 금리의 평균치로, 인민은행이 매달 공표하는 사실상의 기준금리로 통한다. 인민은행은 LPR를 낮춰 고시하는 방식으로 시중금리 인하를 유도해왔다.
인민은행은 신용대출, 기업대출 등 광범위한 대출 상품에 영향을 주는 1년 만기 LPR를 지난 1월 인하한 이후 2월부터 6개월째 동결하고 있다. 5년 만기 LPR는 지난 5월 부동산시장 진작 차원에서 비교적 큰 0.15%포인트 인하했다.
관련 뉴스
중국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시작된 경제성장 둔화 속에서 적극적인 통화정책을 펼쳐왔지만 최근 들어선 속도를 조절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지난 15일 발표된 중국의 2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전년 동기 대비 0.4%로 추락하며 코로나19 대유행이 시작된 2020년 1분기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하지만 인민은행은 최근 주요국가들의 높은 인플레이션이 잠재적으로 중국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작용하면서 금리 인하에 부담을 느끼는 모습을 보였다고 블룸버그는 설명했다. 미국과 유럽 국가를 포함한 주요 경제국이 금리를 인상하는 상황에서 금리 인하를 할 경우 자본 유출로 이어질 수 있어서 금리 인하 여력이 크지 않다는 것이다. 여기에 은행 간 유동성은 유지되고 있어 금리 인하 동인이 크지 않았다는 분석도 나온다.
스티븐 치우 블룸버그인텔리전스 수석 아시아 환율·금리 전략가는 "중국은 정책적 여력을 유지하기 위해 추가 통화 부양책을 내놓는 데 매우 신중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최근 미완공 주택 구매자들이 최근 모기지 원리금 상환 보이콧을 하는 듯 부동산 문제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있어 5년 만기 LPR는 올해 후반 인하할 가능성이 거론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