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여당 공격 날로 심각해져…누구 말처럼 양두구육“

입력 2022-10-05 15:5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5일 서울 여의도 더불어민주당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5일 서울 여의도 더불어민주당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5일 "정부에 촉구하는데 국민이 맡긴 권력으로 자신의 무능과 실패를 숨기려 야당을 탄압하고 전 정권을 공격하는 데에 골몰하지 말라”고 비판했다.

이 대표는 서울 여의도에 있는 중앙당사 당원존에서 열린 최고위원 회의에서 이같이 밝히며 "국민에 대한 예의가 아닐 뿐 아니라 국민이 권한을 맡긴 것에 대한 배신”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윤석열 정권은) 야당 탄압, 전 정권 정치 보복에 온 힘을 쏟고 있다"며 "언제나 권력은 유한하다고 생각하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 여당의 공격이 날로 심각해지고 그 부당함과 무도함이 필설로 형용키 어려우나 민주당은 민생 경제를 챙기는 데 주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이 대표는 ‘민영화 방지법’ 의지도 재차 강조했다.

그는 YTN 지분 매각, 철도·공항 민영화를 예를 들며 "저희가 가장 우려한 보수정권의 DNA라 할 수 있는 민영화가 다시 시작되는 것 같다. 민영화를 반드시 막기 위해 민영화 방지법, 국유 재산 특혜 매각방지법을 최선을 다해 처리하겠다”고 재확인했다.

그러면서 "(정부·여당은) 적반하장으로 ‘우리가 언제 민영화한다고 그랬냐'고 저를 고발해놓고, 민영화 반대한다고 글자 몇 자 썼다고 고발해놓고 뒤로는 실질적으로 민영화에 대한 의지를 강행하고 있는 것 같다”며 "누구 말처럼 양머리를 내걸고 개고기를 팔고 있다. 국민 기만이 심각하다”고 강조했다.

윤석열 대통령 등에게 '양두구육' 등의 비난 언사를 한 이준석 국민의힘 전 대표가 국민의힘 중앙당 윤리위원회의 추가 징계에 직면한 상황을 소환하며 여권을 비판한 발언으로 해석된다.

한편, 이날 회의에는 당원존 개장에 맞춰 당원들이 함께 자리해 민주당 지도부의 발언을 들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투자 확대 10곳 중 1곳 뿐⋯'경제 한파' 이미 시작됐다 [차기정부 기업과제 설문]
  • 타스만·무쏘EV 출격에 ‘픽업트럭 전성기’ 열렸다 [ET의 모빌리티]
  • “출근길 67점, 퇴근 후 39점”…얼굴로 본 스트레스 보고서 ‘마음첵’ [써보니]
  • 은행 예금 ‘식고’ 저축은행 ‘후끈’…예테크족 시선 집중
  • 삼성전자, 獨 HVAC 기업 '플렉트' 인수 추진
  • 글로벌 항노화 전쟁 시작…국내 기업도 ‘노화 치료제’ 개발 본격화 [돈이 되는 항노화②]
  • '고양이 그림자 사진 챌린지' SNS 피드 점령…만드는 방법은?
  • 이투데이, ‘K-제약바이오포럼 2025’ 개최…초고령사회 해법 찾는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14 11:01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975,000
    • +1.25%
    • 이더리움
    • 3,754,000
    • +8.59%
    • 비트코인 캐시
    • 576,500
    • +1.77%
    • 리플
    • 3,615
    • +3.79%
    • 솔라나
    • 257,400
    • +6.8%
    • 에이다
    • 1,155
    • +3.03%
    • 이오스
    • 1,237
    • +2.74%
    • 트론
    • 383
    • +2.13%
    • 스텔라루멘
    • 438
    • +2.34%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650
    • +2.53%
    • 체인링크
    • 24,340
    • +5.37%
    • 샌드박스
    • 535
    • +9.1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