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가 뉴욕 현지시간으로 5일 오후 3시(한국시간 6일 오전 4시) 북한의 중거리 탄도미사일(IRBM) 발사를 논의하기 위한 공개 브리핑을 개최한다.
우리 정부는 이번 회의에 이해 당사국으로 참석한다. 우리나라는 안보리 이사국이 아니지만 안보리 잠정 의사규칙 37조에 따르면 사안의 직접 이해 당사국은 이사국이 아니어도 토의에 참석할 수 있다. 다만 표결권은 주어지지 않는다.
외교부 관계자는 “북한의 반복되는 안보리 결의 위반에 대해 국제사회의 엄중한 메시지가 발신될 수 있도록 안보리 이사국을 포함한 주요 우방국들과 긴밀히 협의 중”이라고 말했다.
외신에 따르면 미국은 안보리 결의 위반인 이번 미사일 발사에 대응하기 위해 영국, 프랑스, 알바니아, 노르웨이, 아일랜드 등 이사국들과 안보리 긴급회의 소집을 요청했다.
린다 토머스-그린필드 유엔주재 미국 대사는 트위터를 통해 “일본 상공을 넘어간 북한의 위험한 장거리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응할 안보리 회의를 요구했다”고 전했다.
애초 안보리 이사국 간에는 회의 공개 여부를 두고 의견이 엇갈렸던 것으로 알려졌다.
로이터 통신은 “중국과 러시아가 안보리의 대응이 한반도 상황 완화에 도움이 돼야 한다고 주장하며 공개회의에 반대했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이사국들의 협의를 거쳐 결론적으로는 회의를 공개할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와 미국 등은 안보리가 이번 발사에 아무런 대응을 하지 않는다면 도발을 용인하는 결과가 될 수 있다는 입장으로 알려졌다.
다만 공개 브리핑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이번 회의 초점이 당장 성명이나 결의 등 안보리 차원의 구체적 조치를 도출하는 데 맞춰지지는 않았다는 관측도 나온다.
국제사회가 회의를 개최함으로써 북한에 강력한 규탄 메시지를 보내고 앞으로 있을 수 있는 중대 도발에 대해 경고하는 의미가 더 클 것으로 보인다.
최근 미국 대 중국·러시아의 대립으로 변화된 국제정세 환경상 안보리가 단합된 조치를 추진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중국과 러시아는 최근 안보리의 북한 도발 대응을 계속해서 가로막아 왔는데 이번 회의에서는 어떤 입장을 내놓을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