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의 2026년 시행 관련 세부 절차와 기준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한국인이 포함된 다국적 전문가로 구성된 협의체가 의견을 낸다.
환경부는 한화진 장관이 이집트 샤름 엘 셰이크에서 진행 중인 제27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7)에 참여해 주요 국가 및 국제기구의 대표들과 회담을 갖고 기후·환경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고 17일 밝혔다.
우선 한 장관은 15일(현지시간) 게라시모스 토마스 유럽연합(EU) 조세총국장을 만나 EU가 2026년부터 적용하려는 '탄소국경조정제도'와 관련해 이 제도가 새로운 무역장벽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도입 단계별로 정보공유 체계를 유지하기로 했다.
탄소국경조정제도는 탄소배출이 많은 지역에서 수입되는 제품에 대해 탄소 가격을 부과하는 제도다.
관련 뉴스
특히 EU가 탄소국경조정제도를 적용하기 위해 탄소집약도와 탄소 가격 등 세부 절차 및 기준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한국인이 포함된 다국적 전문가로 구성된 협의체를 운영하며 의견을 수렴하기로 합의했다.
같은 날 오후에는 바트울지 바트에르덴 몽골 환경관광부 장관과 만나 내년 상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될 한-몽골 국제감축 시범사업인 '울란바토르 매립지 메탄 감축 사업'의 성공적 추진 및 신규 사업 분야 발굴을 위한 양국 소통을 강화하기로 했다.
16일에는 한국·스위스·멕시코·모나코·리히텐슈타인·조지아로 이루어진 기후변화 협상 그룹인 '환경건전성그룹(EIG)' 수석대표 회의에 참석해 기후변화 협상에서 선진국과 개도국 간 교량 역할을 하기로 했다.
이어 존 케리(John Kerry) 미국 기후 특사와 만나 양국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이행 현황과 에너지 전환 계획을 공유했다.
케리 특사는 이 자리에서 한국이 탄소중립 선도국가로서 석탄 감축과 국제메탄서약 이행에 모범적 역할을 담당해 달라고 요청했고, 한 장관은 관련한 구체적인 이행방안을 수립할 예정이라고 답했다.
또, 제니 매컬리스터 호주 기후변화에너지부 차관과는 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 영향에 따른 공동 대응 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17일에는 '탄소중립 정부 구상(Net-Zero Government Initiative)' 출범행사에 참석해 미국, 일본, 독일, 호주, 캐나다 등과 정부 운영 부문에서 선도적으로 온실가스를 감축해 탄소중립 사회 실현에 기여할 것을 약속했다.
또 잉거 안데르센(Inger Andersen) 유엔환경계획(UNEP) 사무총장, 프란스 티머만(Frans Timmermans) 유럽연합 그린딜 집행부위원장, 술탄 아메드 알 자베르(Sultan bin Ahmed Al Jaber) 아랍에미리트 산업첨단기술부 장관을 만나 기후변화 대응 및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양국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한 장관은 18일 야스민 푸아드(Yasmine Fouad) 이집트 환경부 장관, 스티븐 길보(Steven Guilbeault) 캐나다 환경부 장관 등을 만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