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2년여간 국고채 3년물 금리 상승의 60% 정도는 추세물가상승 때문
이창용 총재 “물가에 중점을 둔 통화정책 운용 필요”
소비자물가가 고점을 지났지만 상당기간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이에 따라 내년 1분기(1~3월) 중 기준금리 인상이 종료될 것이라는 전망과 시장금리가 하락할 것이라는 예측도 수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20일 한국은행과 자본시장연구원에 따르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 7월 6.3%로 정점을 기록한 후 당분간 5% 내외의 상승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석유류 가격 오름폭이 축소되고, 국내외 경기하방압력이 커지는 것이 영향을 미칠 것으로 봤다.
다만, 국제유가와 환율 흐름, 전기료 등 공공요금 인상과 국내외 경기둔화 정도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커 둔화 속도를 예측하긴 어렵다고 밝혔다. 단기적으로는 공공요금 인상에 따른 상방압력과 국제유가 하락에 따른 하방압력이 상당부분 상쇄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이창용<사진> 한은 총재도 이날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관련 기자간담회에서 “11월 (한은) 전망과 비교해보면 유가는 많이 떨어지고 있지만, 전기요금은 더 오를 가능성이 있다. 물가 오름세 둔화 속도와 관련한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라고 전했다. 백인석 자시연 선임연구위원도 “누적된 기준금리 인상 영향으로 물가상승률이 낮아질 수 있겠으나, 저물가 기조로의 복귀에는 상당한 불확실성이 존재한다”며 “탈세계화, 노동인구 감소, 기후변화 대응 가속화 등과 같은 구조적 요인의 영향으로 저물가 기조로 회귀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관련 뉴스
![(한국은행)](https://img.etoday.co.kr/pto_db/2022/12/20221220152443_1832404_933_407.jpg)
이는 미국 연준(Fed)이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인상 보폭을 줄였지만, 내년 정책금리 전망의 점도표를 기존 4.5%에서 5.1%로 상향 조정한데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최종 금리수준과 유지기간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 총재는 “최근 미 연준 등 주요국 정책금리 변화도 함께 고려하면서 정교하게 정책대응을 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자본시장연구원)](https://img.etoday.co.kr/pto_db/2022/12/20221220152459_1832405_920_757.jpg)
백 연구위원은 “과거와 같은 저금리 기조로의 회귀 여부에는 상당한 불확실성이 존재한다”며 “국내 경제주체가 저금리 기조에 익숙해져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고금리 유지 가능성에 따른 경제 및 금융시장의 어려움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