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은 차례를 모시는 대상자를 상징한다. 사당에 쓰이는 신주가 없을 때 임시로 만든 위패라고 여기면 된다.
차례상에 올리는 지방은 폭 6㎝, 길이 22㎝의 깨끗한 한지에 붓을 이용해 쓴다. 대부분 한자로 적지만, 최근에는 한글을 쓰기도 한다. 단 글은 세로로 써야 한다.
지방을 쓸 때는 ‘현고학생부군신위(顯考學生府君神位)’를 기억하면 된다. 존경의 의미를 담은 현(顯)은 지방 첫 글자에 올리는데, 아랫사람에게는 쓰지 않는다. 고(考)는 돌아가신 아버지, 비(?)는 돌아가신 어머니를 의미한다.
할아버지·할머니의 경우 ‘조고·조비’, 그 위로 올라갈수록 ‘증조’, ‘고조’ 칭호가 붙는다. 예를 들어 할아버지의 경우 ‘현조고’, 할머니의 경우 ‘현조비’로 쓰면 된다. 증조와 고조할아버지는 각각 ‘현증조고’와 ‘현고조고’를 쓴다.
부모님 차례의 경우 두 분이 모두 돌아가셨을 때는 하나의 지방에 부모를 같이 쓰며 아버지는 왼쪽, 어머니는 오른쪽에 적는다. 부모님이 아닌 조상의 경우 지방에 쓸 조상이 두 분 이상이면 남자 조상을 왼쪽에 쓰고 여자 조상을 오른쪽에 적는다.
조상이 관직에 있었다면 관직 이름을 쓴다. 벼슬을 지내지 않았다면 남자 조상은 ‘학생(學生)’, 여자 조상은 ‘유인(孺人)’이라고 적는다.
마지막으로 벼슬 뒤에 이름을 적고 남자 조상은 부군(府君), 여자 조상은 고인의 본관과 성씨를 적은 뒤 마지막으로 ‘신위(神位)’를 붙이면 된다. 예를 들어 아버지를 기리는 제사나 차례를 지낸다면 ‘현고학생부군신위’(顯考學生府君神位)라고 쓰면 된다.
최근에는 간소화된 차례상 차림으로 지방을 ‘아버님 신위’ ‘어머님 신위’ 등으로 간단하게 적는 경우도 많다.
지방은 죽은 사람의 혼을 대신하는 것이므로 한 번 사용한 뒤 바로 소각하는 것이 관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