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불금 예산 내년 3조, 2027년 5조 원까지…"수급안정대책으로 수확기 쌀값 20만 원 유지"

입력 2023-04-06 16:3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전략작물·친환경직불 확대…올해 벼 재배면적 1.6만㏊ 감소 추진

▲김인중 농림축산식품부 차관이 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쌀 수급안정, 직불제 확대 및 농업·농촌 발전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뉴시스)
▲김인중 농림축산식품부 차관이 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쌀 수급안정, 직불제 확대 및 농업·농촌 발전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뉴시스)

정부가 2027년까지 직불금 예산을 5조 원까지 확대하면서 단계적으로 내년에는 3조 원 규모로 편성한다. 직불금을 확대해 벼 재배면적을 줄이고 산지 쌀값은 80㎏ 기준 20만 원 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6일 민당정 협의회를 열고 '쌀 수급안정, 직불제 확대 및 농업·농촌 발전방안'을 발표했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4일 양곡관리법 개정안에 대해 재의요구 권을 행사했고, 이어 후속조치로 이 같은 대책을 내놨다.

농식품부는 올해 수확기 쌀값이 80㎏당 20만 원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재배면적 감소와 선제적 시장격리 등 수급안정대책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먼저 전략작물직불제, 농지은행사업, 지자체 자율감축 등으로 벼 재배면적 감소를 추진한다. 올해 도입한 전략작물직불제를 통해 논에 콩, 가루쌀, 하계 조사료를 재배하는 농가에 ㏊당 최대 430만 원을 지원해 1만6000㏊를 감소시키고, 농지은행을 통해 농지를 임대할 때도 타 작물 재배의무를 부여해 2000㏊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특히 가루쌀 재배 면적은 올해 2ha에서 내년 1만ha 이상으로 늘린다.

아울러 지자체와의 벼 재배면적 감축 협약에 참여한 농가·농업법인에게는 공공비축미 추가 배정 등의 인센티브를 지원하고, 농지은행의 임대농지 중 일부는 5년간 임대료 80%를 감면하여 타작물 재배를 지원한다.

밥쌀 소비를 늘리기 위해서는 대학교 학생식당에서 아침식사를 1000원에 제공하는 '천원의 아침밥' 사업도 대폭 확대한다.

농가 소득과 경영안정을 위한 농업직불금 예산은 현재 2조8000억 원 규모에서 2027년 5조 원까지 확대한다. 단계적으로 내년에는 올해보다 2000억 원이 늘어난 3조 원의 예산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윤 대통령은 대선 당시 공약에서도 직불금 5조 원을 약속했다.

김인중 농식품부 차관은 "예산 편성을 위한 논의가 진행 중인 상황으로 양곡관리법을 고려해 지출 한도를 감안하고, 최소 2000억 원 이상은 늘리겠다는 의지"라고 설명했다.

직불금 중 공익형 직불금은 중소농 중심으로 소득보전 효과를 높이는 방향으로 개편한다. 농가별·품목별 수입·매출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변동하는 경우 이를 완화해주는 '경영안정 프로그램'을 도입한다.

고령농의 은퇴 후 소득을 보장하면서 청년에게 농지를 이양하기 위한 '경영이양직불제'도 연내 개편안을 마련해 내년부터 시행하고, 농업분야 탄소저감을 뒷받침할 수 있는 탄소중립직불제 시범사업도 시작한다.

농업인들이 제값을 받고 농산물을 판매할 수 있도록 농산물 유통을 디지털화 하기 위한 스마트산지유통센터(APC)도 2027년까지 100곳을 구축해 유통비용 2조6000억 원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이 밖에 청년농 3만 명 육성을 위한 영농정착지원 사업은 지원금과 지원 대상을 확대하고, 인력 문제 해소를 위한 외국인 근로자 유입도 늘린다. 미래 산업을 위한 그린바이오산업은 2027년 10조 원 규모로 키우고, 푸드테크 유니콘 기업도 30개를 육성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우울한 생일 맞은 롯데…자산 매각·사업 재편 속도전[롯데, 위기 속 창립 58주년]
  • 트럼프, 모든 국가에 10%+α 상호관세 부과…한국 25%
  • 이민정♥이병헌 쏙 빼닮은 아들 준후 공개…"친구들 아빠 안다, 엄마는 가끔"
  • “매매 꺾여도 전세는 여전”…토허제 열흘, 강남 전세 신고가 행진
  • [살얼음판 韓 경제] ‘마의 구간’ 마주한 韓 경제…1분기 경제성장률 전운 감돌아
  • 챗GPT 인기요청 '지브리 스타일', 이제는 불가?
  • 2025 벚꽃 만개시기는?
  • 병원 외래 진료, 17분 기다려서 의사 7분 본다 [데이터클립]
  • 오늘의 상승종목

  • 04.03 09:32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868,000
    • -1.95%
    • 이더리움
    • 2,707,000
    • -4.04%
    • 비트코인 캐시
    • 439,300
    • -3.73%
    • 리플
    • 3,063
    • -3.1%
    • 솔라나
    • 178,000
    • -5.27%
    • 에이다
    • 965
    • -3.79%
    • 이오스
    • 1,208
    • +19.37%
    • 트론
    • 350
    • -0.85%
    • 스텔라루멘
    • 391
    • -2.74%
    • 비트코인에스브이
    • 45,960
    • -3.85%
    • 체인링크
    • 19,560
    • -5.6%
    • 샌드박스
    • 386
    • -4.4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