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정부 출범 1년을 맞아 여론조사기관 한국갤럽이 4월 25~27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1명을 대상으로 한 7개 분야 정책 평가 여론조사(95% 신뢰수준±3.1%p,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에서 모두 긍정평가보다 부정평가가 더 높았다. 경제, 복지, 교육, 대북, 외교 정책과 공직자 인사 등 7개 분야 중 3개 분야는 부정평가가 60%가 넘는 낙제점을 받았다. 특히 경제 분야는 긍정평가가 25%, 부정평가는 61%라는 참담한 성적표를 받았다.
아직 윤 정부가 출범한 지 1년밖에 안 된 시점에서 1호 영업사원의 성적표를 평가하기엔 이른 점이 있다. 영업사원 입장에서 이제 겨우 미국 고객과 일본 고객을 두 번 만났을 뿐이고 중국 고객은 아직 만나지도 못했는데 낙제점을 주는 국민에게 내심 서운했을 수도 있다.
지난달 한미 정상회담에서 윤 대통령이 미 상·하원 합동 연설에서 고객의 마음을 사로잡았다는 평가가 잇따르고 있다. 또 반도체·배터리·전기차·바이오 분야의 한미 공급망 협력 강화와 한미일 안보협력 공조강화는 성과로 꼽힌다.
하지만 아직 만나보지도 못한 중국 고객은 연일 ‘압도적 친미 정책’이라 하고 일각에선 북한·중국·러시아의 보복 가능성을 키울 수 있는 불씨를 남겼다고 날 선 반응을 보이고 있다. 2016년 국내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배치 후 중국의 경제 보복이나 2021년 ‘요소수 품귀 대란 사태’ 때보다 한중 관계가 더 악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1호 영업사원의 미일 중심 가치 고객 마음 사로잡기에 중국 고객이 단단히 뿔이 난 모양이다. 중국 고객의 변심(?)은 올 들어 무역수지 최대 흑자국이었던 중국을 31년 만에 적자국으로 돌아서게 만들었다.
지난해 10월 이후 중국과의 무역적자가 7개월째 이어지면서 4월 대중 무역적자는 22억7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중동(56억4000만 달러)을 제외하면 개별 국가 중 적자 규모가 가장 큰 것이며 전체 무역수지 적자 26억2000만 달러와 유사한 규모다.
산업계에선 핵심 원재료의 중국 의존도가 높은 데다 무역 비중이 높아 중국은 절대 버릴 수 없는 카드라 속이 타들어 가고 있다. 그동안 안보는 미국, 경제는 중국이라는 암묵적으로 지켜왔던 정경분리 원칙이 무너지면서 1호 영업사원 행보에 산업계는 목을 매게 됐다.
지난달 한미 정상회담에 삼성·SK·현대차·LG 4대 그룹을 비롯한 재계 주요 그룹 총수들과 산업계 고위 관계자들이 총출동한 이유도 1호 영업사원의 세일즈 외교를 돕기 위해서다. 하지만 재계에선 이번 1호 영업사원의 세일즈가 속 빈 강정이라는 평가다. 우리 기업의 목줄을 죄는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과 반도체 과학법(칩스법)에 대해 뚜렷한 해법을 찾지 못했기 때문이다. 오히려 정상회담서 한미 핵협의그룹(NCG) 신설과 대만해협 문제 거론 등을 거론하면서 중국 고객과 러시아 고객의 반발만 샀다.
이 틈을 타 일본 영업사원이 미국 고객의 환심을 사고 반도체·자동차·배터리 협력 강화에 나서고 있는 점도 산업계에선 부담이라고 한다.
최근 만난 산업계 고위관계자는 우리 영업사원이 그 어느 때보다 미·중 패권전쟁 틈바구니에서 실리를 챙길 수 있는 세일즈를 해야 한다고 하소연한다. 너무 미·일에 치중한 세일즈가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표했다.
1호 영업사원의 실적표를 지금 논하기엔 이르지만 산업계가 간절히 바라는 실리외교의 목소리를 귀담아들을 필요가 있다. 그래야 4년 뒤 1호 영업사원이 세일즈를 잘 했다는 평가를 받을 수 있다.
현재 재계 주요 그룹 총수와 기업들은 세계 경기 침체 장기화와 미·중 패권 전쟁 속에서 살아남고자 1호 영업사원 세일즈 지원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런 산업계 염원을 담아 1호 영업사원은 남은 4년 임기 동안 미·중 무역 갈등에 따른 통상 마찰에 불쏘시개가 아닌 소방수로서 1호 영업사원의 역할을 다하길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