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가지 의문이 들었다. 이미 충분한 스펙을 갖췄고, 언론사 기사로 바로 게재해도 될만한 기획기사를 스스로 작성할 역량을 가졌다면 부처 정책기자단 활동은 효율성이 떨어질 거다. 정책기자단 경험이 없어도 정부·공공기관, 언론사 등 입직에 큰 어려움이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같은 시간을 할애한다면 필기시험 점수를 1점이라도 더 높이는 게 이익일 거다.
그런데도 경쟁이 치열하다면 그 이유는 아마도 다른 데 있을 가능성이 크다.
이를테면 정책기자단 ‘활동’보단 ‘합격’을 스펙으로 활용하려는 경우일 거다. 부처 정책기자단 경쟁이 얼마나 치열한지 아는 사람이라면 합격 자체에 높은 점수를 줄 테니 말이다. 정책기자단 합격이 증명하는 건 스펙·능력뿐 아니다. 합격자가 충분한 스펙·능력을 갖추지 못했다면, 정책기자단 합격증은 배경이나 부모의 재력을 간접적으로 증명하는 도구가 될 거다. 자기소개서, 기획기사 등이 컨설팅의 결과물일 테니 말이다.
정책기자단은 각 부처가 운영하는 여러 일경험(또는 인턴) 프로그램 중 하나다. 윤석열 정부는 국정과제 중 하나로 ‘다양한 일경험 프로그램’을 제시했다. 실제로 부처별 국정 일경험, 중앙·지방정부 및 공공기관 인턴, 2030 자문단 등 많은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전 정부에서 채용 연계형 인턴을 늘렸다면, 현 정부는 체험형 인턴을 늘리고 있다. 각각의 장단점은 명확하다. 채용 연계형은 채용된 이들에게만 이익이다. 채용에서 탈락한 이들은 인턴 경험을 경력으로 활용하기 어렵다. 채용되지 못했다는 게 업무능력이 부족하다는 걸 증명하는 꼴이 되기 때문이다. 반면, 체험형은 일경험이 채용 기회로 이어지지 못하지만, 누구에게나 ‘활용 가능한’ 경력이 된다. 향후 취업 과정에서 플러스가 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순수하게 일경험 기회를 제공하는 게 목적이라면 채용 연계형보단 체험형을 늘리는 게 바람직할 것이다.
다만 일경험의 효과를 높이려면 목적을 명확히 설정하고, 목적에 따라 대상자를 선정해야 한다. 합격증이 아닌 경험이 필요한 이들에게 기회가 돌아가야 한다. 스펙이나 포트폴리오보단 일경험 프로그램에 지원한 이유, 일경험 활용 계획 등에 무게를 두고 심사할 필요가 있다. 일부 ‘트로피 수집가’에게 세금으로 트로피를 만들어주는 게 공공부문이 할 일은 아니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