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만난 추경호 "韓 거시·금융·재정 관리 역량, 그 어느 때보다 탄탄"

입력 2023-08-28 1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수출 회복ㆍ고용 양호 등으로 회복세 강화될 것"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왼쪽)이 2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국제신용평가사 스탠다드앤푸어스(S&P) 연례협의단과 면담에 앞서 킴엥 탄 S&P 아태지역 국가신용등급 담당 선임이사와 악수하며 인사를 나누고 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왼쪽)이 2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국제신용평가사 스탠다드앤푸어스(S&P) 연례협의단과 면담에 앞서 킴엥 탄 S&P 아태지역 국가신용등급 담당 선임이사와 악수하며 인사를 나누고 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한국을 방문한 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푸어스(S&P) 측을 만나 한국의 거시·금융·재정 관리 역량이 그 어느 때보다 탄탄하다고 강조했다.

추 부총리는 2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S&P 협의단과 가진 면담에서 한국의 거시경제, 금융·외환시장, 재정 여건 등을 설명한 뒤 이같이 밝혔다. 협의단에는 킴엥 탄 아태지역 국가신용등급 담당 선임이사, 앤드류 우드 아태지역 국가신용등급 담당 이사 등이 참석했다.

추 부총리는 "최근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2%대로 둔화되는 등 그 어느 선진국보다 모범적으로 물가를 관리해나가고 있다"며 "반도체 중심의 수출 회복, 양호한 고용 흐름 등을 바탕으로 한 견조한 소비 등에 힘입어 회복세가 점차 강화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미국의 통화 긴축 등으로 인한 대내외 리스크 요인에 대해 기획재정부 중심으로 한국은행, 금융위, 금감원 등 관련 기관과 긴밀히 공조·대응하고 있다"며 "이러한 노력에 힘입어 주요 금융·외환 시장 지표가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추 부총리는 "정부 출범 이후 일관되게 추진 중인 강력한 재정건전성 강화 노력이 29일 발표될 2024년 예산안에도 적극 반영됐다"며 "재정 준칙 법안이 정기 국회에서 통과되도록 국회와 긴밀한 협력하는 등 건전재정 기조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S&P 협의단은 이러한 한국의 정책 대응 방향에 대해 동의하고, 우리 정부의 정책대응 조합에 대해 적극 지지 입장을 표명했다.

한편 S&P는 이날 추 부총리 예방을 시작으로 28~30일 기재부, 외교부, 산업부, 금융위, 한국은행 등 다양한 기관을 대상으로 한국 연례협의를 실시할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우울한 생일 맞은 롯데…자산 매각·사업 재편 속도전[롯데, 위기 속 창립 58주년]
  • 미국 “철강ㆍ자동차ㆍ반도체 등 상호관세 미적용”
  • 이민정♥이병헌 쏙 빼닮은 아들 준후 공개…"친구들 아빠 안다, 엄마는 가끔"
  • “매매 꺾여도 전세는 여전”…토허제 열흘, 강남 전세 신고가 행진
  • [살얼음판 韓 경제] ‘마의 구간’ 마주한 韓 경제…1분기 경제성장률 전운 감돌아
  • 챗GPT 인기요청 '지브리 스타일', 이제는 불가?
  • 2025 벚꽃 만개시기는?
  • "엄마 식당 한 번 와주세요"…효녀들 호소에 구청장도 출동한 이유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4.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398,000
    • -2.53%
    • 이더리움
    • 2,679,000
    • -5.87%
    • 비트코인 캐시
    • 437,200
    • -5.04%
    • 리플
    • 3,004
    • -5.92%
    • 솔라나
    • 178,400
    • -5.46%
    • 에이다
    • 954
    • -5.82%
    • 이오스
    • 1,179
    • +15.82%
    • 트론
    • 347
    • -1.14%
    • 스텔라루멘
    • 383
    • -5.4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5,650
    • -5.17%
    • 체인링크
    • 19,230
    • -8.56%
    • 샌드박스
    • 381
    • -7.5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