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아이디어 받아 지시...부처서 빨리 이행 못한 것”

7일 열리고 있는 경제 분야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조성경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차관은 “대통령의 (말) 한마디로 연구개발(R&D) 예산이 갑자기 깎였다고 하는데, 사실은 그렇지 않다”고 밝혔다.
조 차관은 더불어민주당 정태호 의원이 ‘대통령 말 한마디에 5일 만에 R&D 예산이 20%나 깎인 예산안이 제출됐다’고 지적하자 “작년 11월 30일 국가과학기술 원로와 오찬에서 원로들이 나눠먹기식 예산을 지적했다”며 이같이 답했다.
그는 “대통령은 이와 관련해 원로들의 혁신적 아이디어를 잘 받아서 R&D 혁신을 하라고 과기부 장관에게 지시했다”며 “그 이후에도 올해 1월 24일 ‘과학기술 영리더와의 대화’에서 똑같은 이야기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과기부는) 오랫동안 (그러한) 이야기를 들어왔고, 내부적 논의를 거쳤으나 빨리 조치하지 못했다”고 부연했다.
관련 뉴스
조 차관은 ‘과학기술기본법상 6월 30일까지 예산 배분 계획을 마쳐야 하는데 그러지 않았다. 법 위반 아니냐’는 정 의원 질문에는 “6월 30일까지 하는 것은 법에 있으나 이전에도 사실은 7월을 넘긴 적이 있다. 법률 위반이다, 아니다 하는 것은 저희가 판단할 문제지만 이전에도 그런 일은 계속돼 왔다는 것을 다시 한 번 말씀드린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먼저 과기부 차관으로서 대통령께서 지시한 내용을 제때 이행하지 못한 것에 대해 사과드린다”고 말하기도 했다.
정 의원은 “수출 규모가 11개월째 줄고, 25년 만에 일본에 경제성장률이 역전된다 라는 불안한 소식도 들린다. 경제 ‘폭망’하는 것 아닌가 이런 걱정이 들 수밖에 없다”며 앞서 질의에 나선 같은 당 박범계 의원과 마찬가지로 경제 상황의 어려움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그는 한덕수 국무총리에게 “그렇게 재정 걱정을 하면서 법인세를 깎았나. 그래서 투자가 늘어났나, 투자도 안 늘어났고 소비도 안 늘어났다”며 “결국 세수가 감소되는 바람에 재정을 크게 짜려고 해도 짤 수가 없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내년도 국세 수입이 올해보다 33조 원이 줄어들고, 내년도 세수부족분 중 80% 이상이 법인세 감소분”이라며 “올해 세수 결손액은 50조원 가까이 예측돼 재정 규모를 늘리고 싶어도 못 늘리는 것. 제가 보기에 이것은 정부의 경제 실패”라고 말했다.
그러나 한 총리는 “동의하기 어렵다”며 “금리가 국제적으로 올라 투자가 예상보다 줄어든 건 맞지만, 국제적 금리는 다 적용되는 것이다. 외국인 투자는 그 나라의 법인세, 노동관계, 이런 것을 보고 투자하는데, 올해 상반기 외국인 투자는 약 170억 달러여서 어느 해보다도 많이 늘어났다. 또 지난해 1% 내린 법인세 때문에 지금 세수 적자가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정 의원은 한국은행에서 세금이 없으니 일시차입금을 계속 가져온다며 외국환평형기금(외평기금)을 공공자금관리기금(공자기금)으로 가져와 정부 일반회계로 가져와 쓰려고 한다며 “그런 게 분식”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이에 한 총리는 “분식이란 표현은 전혀 맞지 않다”며 “세수가 부족한 건 맞다. (그러니) 당장 필요하지 않은 데서 서로 간 대차를 하는 건 당연한 것"이라고 했다. 또 “외평기금 말씀하셨는데 외환시장 개입을 외평채만 하나. 제일 중요한 건 한국은행이 정부와 같이 개입하는 것”이라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