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사회서비스 분야 금융지원 활성화를 위해 각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했다. 민간자본 투자 활성화, 법적 지원근거 마련 등 다양한 방안이 제시됐다.
보건복지부와 중앙사회서비스원은 8일 서울 중구 중앙서비스원에서 ‘사회서비스 분야 금융지원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제3차 사회서비스 정책포럼’을 개최했다. 정부는 올해부터 140억 원 규모의 사회서비스 투자펀드를 신규 조정해 사회서비스 분야 금융지원을 다양화할 예정이다. 이날 포럼에서 제안된 다양한 지원방식을 검토해 향후 수립할 정책에 반영할 계획이다.
포럼에서 장지연 한국사회가치연대기금 기반조성그룹장은 ‘사회서비스 분야 금융지원 국내·외 사례 및 시사점’을 주제로 영국·미국 등 해외 선진국의 금융정책을 소개했다. 박창균 자본시장연구원 부원장은 ‘사회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금융지원 방향 및 정부의 역할’을 주제로 민간자본 투자 유도를 통한 사회서비스 공급 확대, 사회서비스와 임팩트 투자 생태계를 제안했다.
김효선 법무법인 더함 변호사는 ‘사회서비스 분야 금융지원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및 정책 방향’을 주제로 국내 정책금융지원 사례와 법적 근거를 비교했다. 이를 토대로 금융지원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정책목표 설정 및 법적 지원근거 마련을 권고했다.
관련 뉴스
이어진 토론에서는 조상미 중앙사회서비스원장을 좌장으로 김기룡 플랜엠 대표, 김민석 경기도 사회적경제원 본부장, 노영한 한국마이크로크레디트 신나는 조합 국장, 손석조 신협중앙회 본부장이 사회서비스 분야 금융지원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조 원장은 “다양한 공급주체가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국민 누구나 필요한 서비스를 누릴 수 있는 보편적 서비스 제공체계 구축을 위해 금융지원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김혜진 복지부 사회서비스정책관은 “사회서비스 공급자를 지원하고 국민의 사회서비스 수요를 충족할 수 있도록 임팩트 투자, 융자‧대출, 보증 등 금융지원 방안을 적극 모색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