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만 산업계를 비롯해 곳곳에서 벌어지는 파업이 국내 경기 회복에 복병으로 떠올랐다. 미국의 통화긴축 기조 지속과 국제유가 상승으로 물가 상승 압력이 확대되고 있는 점도 우리 경제에 큰 부담이다.
11일 산업계에 따르면 자동차와 철강 등 주요 수출 업체들이 파업의 위기에 몰렸다. 노조의 과도한 요구가 관철되지 않자 파업이라는 강수를 둔 것이다.
기아 노조는 이날 사측의 요청에 따라 2023년도 임금 단체 협상의 교섭을 다시 이어 나가기로 했다. 12일 예고했던 파업을 일시 유보했지만, 협상 결렬 시 파업은 강행될 예정이다.
그동안 논란이 돼왔던 '고용세습조항 유지'와 '64세 정년 연장'이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는 이유에서다.
자동차는 올해 계속된 반도체 수출 부진 속에서 우리나라 수출의 버팀목으로 자리매김한 효자 사업군이다. 기아차 파업이 강행된다면 자동차 부문 수출에 타격이 예상된다.
철강업계도 파업에 시달리고 있다. 포스코 노동조합은 10일 쟁의행위 조정신청을 내고 파업 준비를 본격화했다. 창립 55년 만에 첫 파업 위기다. 현대제철은 파업 위기를 넘겼지만 임단협을 마무리 짓지 못해 파업 불씨가 남아 있는 상황이다.
문제는 산업계의 파업이 최근 살아나고 있는 우리 경제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는 것이다. 긴 터널을 지나온 우리 경제는 최근 제조업을 중심으로 의미있는 숫자를 보여주며 부활 움직임을 보이고 있었다.
국책연구기관은 한국개발연구원(KDI)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 감소폭은 축소됐다. 지난달 수출액 감소율(전년 대비)은 -4.4%로 전달(-8.8%)보다 낙폭이 줄었다. 반도체 생산이 일부 회복되면서 제조업의 부진도 완화된 모습이다.
재계 관계자는 "대외환경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파업은 살아나고 있던 수출에 다시 타격을 줄 뿐만 아니라 지역경제를 비롯해 우리나라 곳곳에 악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비단 파업은 산업계뿐만이 아니다. 국민의 건강과 이동을 책임지는 의료 및 교통 분야에서도 파업이 잇따르고 있다.
서울대병원 노동조합은 의료 공공성 강화와 인력 충원, 임금 인상 등을 요구하며 이날부터 무기한 파업에 돌입했다. 같은 날 경북대병원도 파업에 들어갔다.
경기지역 버스노조는 단체교섭 결렬에 따라 총파업을 예고했다. 일반시내버스 준공영제 전환 약속 이행, 1일 2교대제 전환 등이 관철되지 않으면 26일부터 파업에 돌입할 예정이다.
KDI는 이날 발표한 10월 경제 동향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경기 부진이 점진적으로 완화되고 있으나 대외 불확실성도 상존하는 모습"이라고 밝혔다.
KDI는 "제조업에서 생산 감소폭이 크게 축소되고 평균가동률이 반등하는 등 부진 완화를 시사하는 신호가 점증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KDI는 우리 경제 회복을 제약할 수 있는 대외 불확실성 상존에 우려감을 나타냈다. 우선 미국의 고금리 장기화를 우려 요인으로 꼽았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지난달 21일 고금리 기조를 "인플레이션(물가상승) 안정을 확신할 때까지" 유지하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KDI는 "미국의 통화긴축 장기화 기대가 확산됨에 따라 국내 시장금리도 상승하면서 경기 부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고금리 장기화는 현재 눈덩이 불어난 가계·기업부채 확대를 부추겨 투자, 소비 등 경제 전반이 위축될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 최근 발발한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이 국제유가 급등을 더 부추기면서 고물가 기조가 장기화할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