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시정연설 '신사협정' 깬 민주당...결국 피켓 들었다

입력 2023-10-31 11:1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3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리는 윤석열 대통령의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대한 시정연설에 앞서 로텐더홀에서 침묵 피켓 시위를 진행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3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리는 윤석열 대통령의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대한 시정연설에 앞서 로텐더홀에서 침묵 피켓 시위를 진행하고 있다. (연합뉴스)

31일 윤석열 대통령 취임 후 처음으로 국회에서 하는 대통령 예산안 시정연설에 참석한 더불어민주당이 신사협정에도 불구하고 결국 피켓을 들고 윤 대통령을 맞이했다.

민주당 의원들은 이날 오전 9시 20분쯤, 시정연설 전 연 의원총회를 마친 뒤 국회 본관 2층 로텐더홀 계단에서 ‘국민을 두려워하라’, ‘민생 경제 우선’, ‘국정기조 전환’, ‘민생이 우선이다’가 적힌 피켓을 들고 침묵 항의 시위를 벌였다.

윤영덕 원내대변인은 의총 후 기자들에게 “민생이 고단하고 여러 가지 경제 위기 징후들이 커지고 있다. 대통령이 1년에 몇 차례 국회를 방문하는데, 국민 목소리를 대변해야 할 국회의원들이 대통령에게 국민의 목소리를 전달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들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침묵 시위였지만, 외침도 들렸다. 민주당은 윤 대통령이 국회 본관 2층 입구로 들어오자마자 피켓을 볼 수 있도록 로텐더홀 계단에서 시위를 했지만, 윤 대통령이 시선을 주지 않고 이동하자 “윤석열 대통령님 여기 한 번 보고 가세요!”, “보고 가!”라고 소리를 치기도 했다.

지난해처럼 시정연설 자체를 보이콧 한 것은 아니지만, 신사협정을 맺었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회의장 밖이지만 피켓 시위를 함으로써 신사협정 취지에 어긋나는 것 아니냐는 비판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은 신사협정을 위반한 건 아니라는 입장이다. 신사협정이 적용되는 장소가 본회의장, 상임위원회의장 등인 만큼 로텐더홀이나 장외에선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윤 원내대변인은 “회의장 밖 공간까지 국회의원의 자유로운 의사 표현을 막는 건 안 된다고 판단했다”며 “최소한 국민의 목소리를 대변해야 할 야당 국회의원으로서 대통령께 국민의 의사를 전달하는 것을 최대한 절제해서 하겠다는 의미로 받아주시면 감사하겠다”고 설명했다.

전날 열린 민주당 의총에서도 일부 의원들은 장외 피켓 시위까지 허용하지 않는 건 안 된다고 지적했다.

당시 양이원영 의원은 “대통령을 직접 마주할 수 있는 유일한 날인데, 국민을 대리하는 국회의원으로서 의견을 전달해야 한다”고 발언했다. 남인순 의원도 비슷한 취지의 발언을 했고, 서영교 최고위원 등은 공감을 표하기도 한 것으로 전해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우울한 생일 맞은 롯데…자산 매각·사업 재편 속도전[롯데, 위기 속 창립 58주년]
  • 미국 “철강ㆍ자동차ㆍ반도체 등 상호관세 미적용”
  • 이민정♥이병헌 쏙 빼닮은 아들 준후 공개…"친구들 아빠 안다, 엄마는 가끔"
  • “매매 꺾여도 전세는 여전”…토허제 열흘, 강남 전세 신고가 행진
  • [살얼음판 韓 경제] ‘마의 구간’ 마주한 韓 경제…1분기 경제성장률 전운 감돌아
  • 챗GPT 인기요청 '지브리 스타일', 이제는 불가?
  • 2025 벚꽃 만개시기는?
  • "엄마 식당 한 번 와주세요"…효녀들 호소에 구청장도 출동한 이유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4.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248,000
    • -2.62%
    • 이더리움
    • 2,678,000
    • -5.84%
    • 비트코인 캐시
    • 434,900
    • -5.54%
    • 리플
    • 2,992
    • -6.27%
    • 솔라나
    • 178,100
    • -5.57%
    • 에이다
    • 953
    • -5.92%
    • 이오스
    • 1,180
    • +15.57%
    • 트론
    • 346
    • -1.7%
    • 스텔라루멘
    • 382
    • -5.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45,300
    • -5.94%
    • 체인링크
    • 19,210
    • -8.74%
    • 샌드박스
    • 379
    • -8.0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