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금융지주, 올해 실적 부담 감소…목표가 7.8만원 상향”

입력 2024-02-16 08:0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출처=IBK투자증권)
(출처=IBK투자증권)

IBK투자증권은 16일 한국금융지주에 대해 ‘올해 실적 부담은 감소했다’며 ‘매수’를 추천했다. 목표주가는 7만8000원으로 기존 대비 18.2% 상향 조정했다.

우도형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해 4분기 한국금융지주의 지배주주순이익은 -254억 원으로 컨센서스 458억 원 IBK투자증권의 추정치 751억 원을 크게 하회했다”며 “이는 예상보다 크게 반영된 부동산PF 관련 충당금에 기인한다”고 전했다.

이어 “4분기 일회성 비용은 총 4000억 원 수준으로 부동산PF 충당금 및 해외대체투자 관련 평가손실이 각 2000억 원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연결자회사는 저축은행과 캐피탈의 실적이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축은행은 신용대출 부도율(PD) 상승으로 인한 충당금 800억 원 적립이 있었으며 캐피탈은 부동산PF 관련 충당금을 400억 원 적립했다.

이번 충당금 반영으로 올해 실적 부담은 줄었다는 분석이다. 한국투자증권의 국내 부동산PF 익스포저는 3조2000억 원 수준이며 지난해는 3000억 원의 비용이 반영됐고 지난해 2022년에 반영된 비용 1000억 원을 더하면 현재까지 4000억 원 수준의 비용이 반영된 것으로 봤다.

우 연구원은 “이는 한국투자증권의 브릿지론 및 계약금 익스포저의 30%에 해당하는 수준으로 판단된다”며 “해외대체투자 익스포저는 8000억 원 수준으로 주요 모니터링 자산의 익스포저는 4000억 원으로 추정된다. 2023년 해외대체투자 관련 비용은 3000억 원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금융당국의 보수적 충당금 적립 기조를 감안하면 올해 국내외 부동산 관련 비용 부담은 감소할 것으로 판단한다”며 “실적 개선에 기저 효과로 작용할 전망”이라고 강조했다.

우 연구원은 “한국금융지주는 타사 대비 높은 자기자본이익률(ROE) 수준에도 주가순자산비율(PBR)은 0.43배 수준으 로 낮아 밸류에이션 매력이 높다고 판단한다”며 “지난해 충당금 반영의 기저 효과로 올해는 실적 부담이 감소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우리은행장 교체 수순…차기 행장 후보 내주 윤곽 나올 듯
  • 단독 부모-자녀 한 동네 사는 실버타운 만든다더니…오세훈표 '골드빌리지' 무산
  • "동덕여대 손해배상 상대 특정 어려워…소송 쉽지 않을 것"
  • 지드래곤, 오늘(22일) 신곡 깜짝 발표…'마마 어워즈'서 볼 수 있나
  • 고양 소노 감독 폭행 사건…'사상 초유' KBL에 징계 맡겼다
  • 유병재, 열애설 상대는 '러브캐처4' 이유정?…소속사 측 "사생활이라 확인 불가"
  • 김장 잘못하다간…“으악” 손목‧무릎 등 관절 주의보 [e건강~쏙]
  • "아이 계정 삭제됐어요"…인스타그램의 강력 규제, '진짜 목표'는 따로 있다?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11.22 15:29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7,935,000
    • +0.79%
    • 이더리움
    • 4,699,000
    • +6.89%
    • 비트코인 캐시
    • 692,500
    • -7.36%
    • 리플
    • 1,972
    • +26.09%
    • 솔라나
    • 361,900
    • +7.71%
    • 에이다
    • 1,234
    • +11.27%
    • 이오스
    • 972
    • +6.35%
    • 트론
    • 279
    • +0.36%
    • 스텔라루멘
    • 402
    • +20.72%
    • 비트코인에스브이
    • 95,000
    • -13.24%
    • 체인링크
    • 21,290
    • +3.4%
    • 샌드박스
    • 495
    • +3.9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