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단체의 폐쇄성이 짙어지고 있다. 의료계를 대표할 권한이 없는 의과대학 교수들은 ‘제자를 지키겠다’며 환자를 떠나겠다고 공언했고, 대한의사협회(의협)는 대안 없이 ‘정책 폐기’만 외치고 있다.
전국 의과대학 교수협의회(전의교협)는 20일부터 언론 브리핑을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브리핑 4시간 전까지 사전질의를 마감하고, ‘사직서 제출 관련 질문은 받지 않겠다’고 공지했다. 일부 의대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앞서 언론과 소통하겠다며 SNS 단체대화방을 개설했으나, 정부 입장에 동조하거나 의료계를 비판하는 기사를 보도한 언론사에 퇴장을 요구했다.
의대 교수 개인의 의견을 교수단체가 나서서 차단한 일도 있다. 전날 홍승봉 대한뇌전증센터학회장은 미국·일본·대만 사례를 토대로 의과대학 입학정원 1004명 증원을 중재안으로 제시했다. 홍 회장은 ‘개인 의견’임을 강조하며, 소속 대학·병원에 피해가 갈 것을 우려해 소속도 언급하지 말 것을 요청했다. 그런데 성균관대 의대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가 같은 날 밤 교수회의·설문 결과 자료를 배포하면서 홍 회장의 발언을 인용한 기사에 대한 삭제를 요청했다.
이런 교수단체의 ‘제한적 소통’은 ‘의사 악마화’에 대응하는 일종의 방어기제로 읽힌다.
특히 교수들은 대학 정원 2000명 증원 결정을 ‘무리한 증원’, ‘일방적 증원’이라고 비판하면서도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의대 교수는 “의대 교수들은 상당수가 의대 증원에 찬성하지만, 대부분 20% 내외로 증원한 후 추가 증원을 검토하자는 온건론자”라며 “교수들이 비판하는 건 증원 자체가 아니다. 증원 규모를 결정한 과정과 절차, 증원분을 활용하는 방식이 잘못됐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지금은 제자인 전공의와 의대생들을 지키는 게 최우선”이라고 말했다. 의대 교수들이 바라는 건 정부의 ‘명분 제시’란 의미다.
그나마 의대 교수들의 행보는 온건한 편이다. 의협의 의사결정 방식은 전체주의에 가깝다. 지난해에는 의대 증원을 주장해온 의대 교수를 징계심의에 회부했다. 최근에는 보건복지부가 공식브리핑에서 복귀를 희망하는 전공의들의 목소리, 집단행동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기관·학회 발표를 소개하자 “정부가 전공의를 분열시키려는 의도로 출처도 확인되지 않은 정체불명의 말을 인용하며 거짓 선동을 일삼고 있다”고 주장했다. 다른 목소리를 아예 부정하는 상황이다.
의사 커뮤니티인 메디스태프에는 병원에 남은 전공의들의 이름·소속이 기재된 명단이 게시됐고, 이들을 비난하는 댓글이 잇따랐다. 이에 보건복지부가 나서서 집단 내 비난과 따돌림이 두려워 복귀하지 못하는 전공의들로부터 상담전화를 받고 있다.
한 의대 교수는 “단 1명도 증원할 수 없다는 20~30% 강경론자들이 의사단체의 주류세력으로 활동하고 있는데, 그들이 협상권을 쥐고 있는 이상 이 문제는 끝나지 않을 것”이라며 “의사이자 교육자인 의대 교수협의회에 협상권을 넘길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