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리지옥.’ 알리익스프레스(AliExpress·알리)라는 알리바바 그룹 계열의 온라인 유통 플랫폼에서 물건을 한번 사면 계속 주문하게 된다는 신조어다. 이미 올해 초부터 소셜 네트워크 및 기사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유행어이다. 그만큼 우리나라에서 알리의 공격적인 마케팅이 심상치 않다.
알리는 우리나라 소비자에게 단순히 초저가 공세뿐만 아니라 막강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온-오프라인으로 엄청난 물량의 광고를 쏟아 내고 있다. 더욱이 또 다른 중국 유통 플랫폼인 테무(Temu)까지 합세하며, 알리와 테무 두 앱의 국내 사용자 수는 지난 1월 기준 1000만 명이 넘었다고 한다.
이러한 현상은 국내 유통업계에도 커다란 영향을 끼치고 있다.
우선 현재 유통업계 매출 1위인 쿠팡은 대대적인 로켓배송 확대 계획을 발표하였고, 대형마트 3사는 오프라인 매장의 장점을 십분 발휘할 수 있는 신선식품 매장을 최대 90%까지 확대하였다.
중국 유통 플랫폼의 공습은 또한 지식재산권 침해 이슈를 동반하고 있다. 관세청에 따르면 2019년부터 5년간 지식재산권 침해로 적발된 수입품 규모가 2조 900억 원 정도이고 그중 중국산이 84.5%에 달한다고 한다.
이러한 현상은 알리나 테무 등 쇼핑앱의 국내 보급으로 더욱 악화될 것으로 예측된다.
물론, 중국 유통 플랫폼 회사는 당연히 지식재산권 리스크에 대비하였을 것이다. 실제 알리의 경우, 지난해 12월 한국 기업의 지식재산권 및 소비자 보호를 강화하기 위해 3년간 100억 원을 투자한다고 발표하였고, 나아가 한국 기업의 브랜드 보호와 가품 문제의 대안으로 ‘프로젝트 클린’과 ‘미스터리 쇼퍼’ 정책을 전개하고 있다.
프로젝트 클린은 AI 기술 등이 적용된 가품 예방 시스템이고, 미스터리 쇼퍼는 전담팀에 의한 무작위 검사 및 용이한 환불 보장 등에 관한 것이다.
중국 유통플랫폼을 통한 가품 유통을 단속 및 수사하기 위해, 특허청은 지난 4월 1일 별도 조직을 신설하는 등 강력 대응을 전개할 것임을 밝혔다.
대량의 유통판매자를 통한 상습적인 침해 사례가 늘어남에 따라 효과적인 대응을 위해 전문 단속단을 꾸려 운영한다. 특허청의 강력한 조치에 지지를 표한다.
이에 앞서 지난해 11월 특허청은 관세청과 함께 ‘K-브랜드 지식재산권 보호 설명회’를 열기도 했다. 갈수록 늘고 있는 지식재산권 침해에 대한 대응 사례를 공유하고 좀 더 효율적으로 지재권 침해를 차단하기 위한 대책을 모색한 자리였다.
다만, 이러한 사후적 조치들과 함께 지식재산권 분야 중국 전문가 협의체를 구성하는 등 중국 유통플랫폼의 비즈니스 모델이나 마케팅 정책 변화에 따른 지식재산 이슈를 먼저 규정하고 대비할 수 있는 선제적 방안들도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아이피리본 대표·변리사 김세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