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프랑스, 엇갈리는 명암…증시 고공행진 vs. 신용등급 강등 위기

입력 2024-04-24 14:3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영국 증시, 사상 최고치 경신
경기 회복, 금리 인하 기대 등이 주요인
프랑스, 인플레와 부채 부담에 허덕여
신용등급 발표 앞두고 정부 친기업 법안 준비

▲리시 수낵 영국 총리가 2일 하틀풀의 한 보육원을 방문해 아이들과 대화하고 있다. 하틀풀(영국)/AP뉴시스
▲리시 수낵 영국 총리가 2일 하틀풀의 한 보육원을 방문해 아이들과 대화하고 있다. 하틀풀(영국)/AP뉴시스
유럽의 대표 라이벌인 영국과 프랑스의 시장ㆍ경제 상황이 엇갈리고 있다. 영국 런던증시 FTSE100지수는 경기 회복에 힘입어 이틀 연속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지만, 프랑스에선 신용등급 강등 위기에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이 대책을 부심하고 있다.

23일(현지시간) CNBC방송에 따르면 영국 런던증시 FTSE100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26% 상승한 8044.81에 마감했다. 이틀째 사상 최고치다. 지수는 올해 들어 약 4% 상승했다.

브렉시트와 경기침체를 비롯한 여러 악재로 그간 저평가됐던 영국 증시는 성장 회복과 기준금리 인하 관측 등에 힘입어 최근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뉴턴인베스트먼트의 데이비드 쿠밍 애널리스트는 “영국 증시는 한동안 다른 증시보다 저렴했다. 특히 미국보다 그랬다”며 “영국 경제지표가 점점 좋아지고 있고, 이는 촉매제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런던증시의 주가수익배수는 11배 미만으로, 범유럽증시 스톡스600지수의 13배, 미국 S&P500지수의 20배보다 작다. 배수가 작을수록 저평가를 나타낸다.

영국이 주요국 중 가장 먼저 금리를 인하할 수 있다는 기대감도 주가 상승 동력이 되고 있다. 모건스탠리의 옌스 아이젠슈미트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잉글랜드은행은 5월 금리를 인하할 수 있다”며 “2분기 인플레이션 상승률이 목표치인 2% 밑으로 떨어질 것이라는 당국의 전망에 동의한다”고 설명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18일(현지시간) 기자회견하고 있다. 브뤼셀/AFP연합뉴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18일(현지시간) 기자회견하고 있다. 브뤼셀/AFP연합뉴스
반면 프랑스는 여전히 인플레이션과 높은 금리, 부채 압박에 시달리는 중이다. 국제통화기금(IMF)은 프랑스의 공공부채가 2029년까지 국내총생산(GDP) 대비 4% 이상으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유로존 평균의 거의 두 배에 달한다.

상황이 악화하자 마크롱 정부는 기업을 방해하는 관료주의를 없애는 것을 목표로 새 법안을 24일 발표하기로 했다. 법안은 연초 기업들과의 공개 협의에서 나온 5500개의 제안을 토대로 마련됐다.

브뤼노 르메르 프랑스 재무장관은 프랑스 2TV 인터뷰에서 “법안 목적은 기업가들의 삶을 더 편하게 만드는 것”이라며 “이들 중 다수는 행정 지옥에 살고 있고, 정부에 서류 업무 부담을 줄여달라고 압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프랑스 정부가 움직인 데는 조만간 발표될 주요 신용평가사들의 국가 신용등급과도 맞물린다. 지난해 프랑스 신용등급을 AA-로 낮춘 피치와 무디스는 26일, S&P글로벌은 내달 31일 등급을 평가할 예정이다.

이를 의식한 일부 투자자들은 이미 프랑스 채권을 피하고 있다. 프랭클린템플턴의 데이비드 잔 유럽 채권 담당자는 “프랑스 채권에 대한 비중을 많이 축소하는 중”이라며 “우리가 정말 우려하는 것은 재정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ING의 샬럿 데 몽펠리에 이코노미스트는 “현재로선 올해 GDP 대비 부채 비율이 정부 목표치인 4.4%를 달성하기가 불가능해 보인다”며 “신용등급 강등을 피하기 위해 정부는 조치를 발표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프랑스의 재정 정책은 매우 확장적이던 정책에서 경제 성장에 부담을 주는 제한적인 정책으로 전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내일부터 암, 2대 주요치료비 보험 판매 중지된다
  • "아이 계정 삭제됐어요"…인스타그램의 강력 규제, '진짜 목표'는 따로 있다? [이슈크래커]
  • 근무시간에 유튜브 보고 은행가고…직장인 10명 중 6명 '조용한 휴가' 경험 [데이터클립]
  • 김장철 배춧값 10개월 만에 2000원대로 '뚝'
  • 단독 LG 생성형 AI ‘엑사원’에 리벨리온 칩 ‘아톰’ 적용되나…최적화 협업 진행
  • [인터뷰] 조시 팬턴 슈로더 매니저 “K-채권개미, 장기 투자로 美은행·통신·에너지 채권 주목”
  • 트럼프 당선 후 가장 많이 오른 이 업종…지금 들어가도 될까
  • 이혼 조정 끝…지연ㆍ황재균, 부부에서 남남으로
  • 오늘의 상승종목

  • 11.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7,281,000
    • +3.27%
    • 이더리움
    • 4,699,000
    • +8.32%
    • 비트코인 캐시
    • 676,000
    • +9.3%
    • 리플
    • 1,660
    • +8.14%
    • 솔라나
    • 356,300
    • +7.84%
    • 에이다
    • 1,105
    • -2.04%
    • 이오스
    • 917
    • +3.97%
    • 트론
    • 277
    • +0.36%
    • 스텔라루멘
    • 342
    • -0.29%
    • 비트코인에스브이
    • 94,550
    • -0.99%
    • 체인링크
    • 20,840
    • +2.81%
    • 샌드박스
    • 479
    • +1.91%
* 24시간 변동률 기준